경기연구원, 관련 연구보고서 발간
전력소비량 높은데 재생에너지는 낮아
도민 역시 기후위기 대응 필요성 ‘공감’
경기도의 기후위기 대응 재생에너지 전환이 도내 산업과 기업의 경쟁력은 물론 도민 삶의 질과 직결돼 경기도 차원의 적극적인 대응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왔다.
경기연구원은 이러한 내용을 담은 ‘재생에너지 전환 잠재력, 어떻게 실현할 것인가?’라는 보고서를 발간했다고 5일 밝혔다.
해당 보고서에 따르면 경기도 전력 소비량은 2021년 기준 13만 3천445GWh로 전국 전력소비의 25%를 차지했다. 반면 재생에너지 발전량은 3천281GWh로 전력소비의 2.5% 규모에 그쳤고 전국 평균 6.9%보다도 매우 낮은 수준이었다.
현재까지 도내 설치된 신재생에너지 발전설비 용량은 약 2.48GW로, 시장 잠재력의 3.78%만 활용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탄소중립 규제에 따른 ‘탄소세’가 부과될 경우 도내 산업의 주력 부문인 ‘컴퓨터, 전자 및 광학기기’, 서비스 부문 중 ‘운송 서비스’의 생산수요가 크게 감소할 것으로 분석됐다.
더욱이 도민 역시 기후위기 대응 필요성에 깊은 공감대를 보였다.
경기연구원이 도민 1천명을 대상으로 지난 3월 6일부터 9일까지 모바일 설문조사를 진행한 결과, 도민 65%는 RE100 규제가 도민 기업의 경쟁력과 지역경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답했다. 또 기후위기 대응 녹색 전환 투자가 경기도에 새로운 기회를 가져다 줄 것으로 보느냐는 질문에 응답자 77.7%가 동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거주 지역에 재생에너지 시설이 들어서는 것에 대해서도 응답자 79.2%가 긍정적으로 바라봤다.
경기도는 지난 4월 신재생에너지 9GW 공급을 목표로 기후위기를 성장기회로 삼는 ‘경기 RE100 비전’을 선언하고 재생에너지 정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신재생에너지백서에 따르면 도내 신재생에너지 시장 잠재량 중 태양에너지가 대부분을 차지하며 나머지 에너지원은 잠재량이 크지 않은 것으로 추정된다.
경기도, RE100 비전 선언 적극 추진
규제 개선 시, 재생에너지 잠재량 증가
단기적으로 경기 RE100 목표 이행을 위한 현실적 대안인 태양광 잠재력을 분석한 결과, 현재 규제를 모두 적용했을 경우 17.36GW로 신재생에너지백서의 시장잠재력보다 낮게 산정됐다. 각종 토지이용규제로 도내 전체 면적의 83.3%는 태양광 입지가 어려운데, 주요 규제를 개선할 경우 설치가능 면적은 약 2배로 증가했다.
또한, 도내 지자체 12곳의 이격거리 규제 및 영농형 태양광 규제를 개선할 경우, 지상형 태양광 잠재량은 현재 기준에 비해 각각 38.5%, 48.5% 증가했다.
이에 경기연구원은 ▲태양광 외 풍력 시범단지 조성, (소)수력, 바이오, 양수, 조력 등 재생에너지원의 다변화로 재생에너지 공급의 안정성 확보 ▲리파워링(Repowering) 전략 수립 및 기술혁신을 통해 설치 부지의 제약조건 해소 ▲경기도 재생에너지 목표 달성을 위한 기초단체의 목표 권고 및 인센티브 제공 등 협력방안 강구 ▲분산에너지 확대에 따른 배전망 운영 및 관리를 위한 전담기구 설립 검토 등을 제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