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스정책과장 주재로 관련 회의

요소수 필요한 버스는 70% 가량

“공공비축 물량 등 안정 수급 가능”

1207 경기도청 전경.
경기도청 광교청사 전경./경기도 제공

중국의 요소 수출 제한 조치로 ‘요소수 대란’ 재발 우려가 커지자, 경기도가 긴급 점검회의를 열고 버스업체 등 수급 상황을 살폈다.


경기도는 윤태완 버스정책과장 주재로 7일 북부청사에서 시내·외버스, 마을버스, 전세버스 조합 관계자, KD 운송그룹, 전세버스 업체 대표들과 ‘차량용 요소수 수급 관련 긴급 점검회의’를 열었다.


이날 경기도는 정밀화학산업진흥회로부터 “국내 재고 및 중국 외 계약물량으로 3개월치 물량 확보, 수입대체선 확보, 조달청의 공공비축 물량 조기방출 등 버스업체 요소수의 안정적 수급이 가능하다”는 내용을 전달받았다.


요소수가 필요한 도내 경유버스는 모두 2만여대로, 전체 버스의 약 70%다. 이 가운데 시외버스, 전세버스는 대부분 경유차량으로 요소수 수급 문제가 발생하면 운행 차질이 예상된다. 다만, 버스업체 요소수 재고 현황 파악 결과 평상시와 같은 안정 상태였다.


이날 버스업체는 공급량 문제보다 단가가 3~4배 비싸진 게 문제라며 이러한 문제가 재발하지 않도록 정부보조금을 통한 가격 안정화 및 정부 전략물자비축자원의 적극적인 관리 등을 요청했다.


경기도는 규모가 큰 버스업체의 요소수 비축분 공유, 조합 차원의 대량 공동구매를 통한 비용절감 등 업체간 협력 지원체계 구축을 권고했으며 필요 시 정부 공공비축분을 도민에 미치는 파급효과가 가장 높은 버스업체에 먼저 배분하도록 정부에 요청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