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대 총선을 앞두고 국민의힘이 혁신의 분수령에서 막판 진통을 겪고 있다. 김기현 대표가 구성한 당혁신위원회가 영남 중진들인 소위 윤핵관 의원들의 용퇴와 험지 출마를 요구했지만, 김 대표가 이를 거부하고, 혁신위가 해산되면서 국민의힘은 극심한 내홍으로 총선 동력을 상실했다는 비판에 직면했다.

하지만 12일 윤핵관의 핵심 중진인 장제원 의원이 총선 불출마를 선언하면서 혁신의 불씨를 되살렸다. 공천관리위원회 구성을 앞세워 버티던 김 대표도 결단이 임박했다는 예상이 지배적이다. 혁신위가 요구했던 인적 쇄신에 늦게나마 물꼬가 트인 셈이다. 국민의힘의 혁신이 국민의 호응을 받을지, 그 결과가 정부·여당이 원하는 수준의 총선 결과에 이를지는 지켜 볼 일이지, 중립을 견지해야 할 언론이 참견할 일이 아니다.

다만 수도권 언론으로서 수도권 국민의 입장에서 보면 국민의힘은 수도권 총선에서 정신을 차려야 할 공적 책무가 있음을 분명히 밝힌다. 지난 21대 총선의 경기도 지역구 총 득표율은 더불어민주당 53.9%, 국민의힘 전신인 미래통합당 41.1%였다. 하지만 의석수는 민주당 51석, 미래통합당 7석이었다. 인천에선 민주당이 52.88%에 11석, 미래통합당이 39.04%에 1석이었다.

지역구에서 민주당이 경기·인천 지역구를 싹쓸이하면서 미래통합당, 즉 국민의힘을 지지한 대의는 철저하게 소외됐다. 승자독식 선거제도의 폐해라지만, 그것이 수도권에서 두드러지면 결과는 더욱 참혹해진다. 가장 큰 폐해는 1당 정치 독점으로 국가경제의 중추인 경기·인천의 현안이 국정의제로 오르지 못한채 사장되는 점이다. 경기, 인천 민주당 의원들이 지도부의 뜻에 따라 영·호남 현안에 매달리는 탓이다. 민주당과 국민의힘이 의석의 균형을 이루고 있다면 수도권 현안 해결을 위한 경쟁은 치열해질 것이 분명하다.

국민의힘이 사실상 수도권을 포기한 정당, 수포당으로 조롱받는 현실은 수도권 국민에게 끔찍하다. 이런 마당에 수도권 참패를 경고한 당내 보고자료를 은폐하다 들키고, 영남 지도부가 기득권을 유지한 채 수도권 전략을 논의하니 영남 자민련으로 전락한다는 자조가 터져나오는 것이다.

국민의힘은 분골쇄신의 각오로 인구의 절반인 경기·인천 대의정치 구조를 정상화해야 공당의 면모를 회복할 수 있고, 그때라야 대한민국 대의정치도 복원된다. 무늬만 혁신이 아니라 총선 지휘부를 수도권 위주로 재편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