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RE100, 톺아보기·(3·끝)] 산단RE100은 어떻게 이뤄지나
도내 관련社 52.3% 고객 요구에도
중소중견 80·대기업 64% 준비 부족
2026년까지 재생에너지 도입 계획
간담회·매칭데이로 기업 참여 유도
52.3%. 경기도가 올해 초 도내 RE100 관련 기업 44곳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한 결과, 절반이 넘는 23곳이 '고객사로부터 ESG 또는 RE100 요구를 받았다'고 답했다.
EU(유럽연합)가 오는 2026년부터 탄소배출량이 EU 기준을 넘는 수입 제품에 대해 이른바 '탄소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히는 등 RE100이 새로운 무역장벽으로 등장하면서, 국내 기업 발등에도 불이 떨어진 것이다. 수출을 주력으로 하는 기업이 상당수인 경기도 입장에서 기후위기 대응은 필수불가결한 정책인 셈이다.
그러나 해당 설문조사에 응답한 중소·중견기업 10곳 중 8곳, 대기업도 64%는 RE100 준비 역시 부족한 것으로 조사됐다. 경기도와 경기환경에너지진흥원이 경기RE100을 선언하고 기업RE100을 추진하는 이유다. 찾아가는 기업RE100 설명회를 통해 RE100 정보를 공유함과 동시에 재생에너지 공급자와 수요자를 연결하는 네트워크를 구축, RE100 이행이 시급한 기업을 지원한다.
특히 도내 밀집된 산업단지는 재생에너지 공급의 최적부지로 꼽힌다. 주택 등에 태양광을 설치할 경우 주민 수용성이 낮아 민원 등의 방해요인이 많은 데 반해, 산단은 넓은 부지는 물론 이러한 방해요인도 적다. 이에 경기도는 민간기업과 협력해 2026년까지 도내 모든 산단에 재생에너지를 보급한다는 계획이다.
지난 7월 경기도가 8개 민간투자 컨소시엄과 4조원 규모의 투자협약을 체결해 2026년까지 도내 50개 산단에 원전 2기 생산량 규모인 태양광 2.8GW를 보급하기로 한 것이 그 예다. 새롭게 조성되는 산단의 경우 재생에너지 도입계획을 마련한 신규 산단에 물량을 우선 공급하도록 관련 제도 개선에도 나섰다.
특히 경기환경에너지진흥원은 RE100 인식 확대에 힘을 쏟았다. 찾아가는 기업RE100 간담회는 물론, 경기도 RE100 공급자&수요자 매칭데이를 여는 등 기업의 애로를 해소하고 참여를 유도하고 있다. 아울러 산단RE100 참여기업에 대해 경기도 기업지원 사업 41개 가점 또는 우선 선발 혜택을 부여하는 등 대책도 마련됐다.
/신현정기자 god@kyeongin.com
※이 기사는 경기환경에너지진흥원의 지원을 받아 작성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