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부동산원 청약홈에 올라오는 입주자모집공고문을 보면 천정부지로 오르고 있는 분양가가 여실히 느껴진다. A건설사가 이달 분양에 돌입한 단지가 대표적이다. 이천 중리 택지개발지구에 공급하는 분양가상한제 적용 주택인데, 최고가 기준 전용 84㎡ 공급가 5억1천580만~5억2천130만원 수준이다. 3.3㎡ 당 평균 분양가는 1천500만원 가량이다.
이는 해당 건설사가 동일 택지 내에서 4개월 전 분양한 단지와 5천만원 이상 차이나는 금액이다. 지난 7월 A건설사는 이천중리 택지개발지구에 아파트를 신규 공급했다. 당시 전용 84㎡ 최고 공급가는 4억6천480만~4억7천960만원, 3.3㎡당 평균 분양가는 1천400만원 수준이었다. 동일한 택지에서 공급되는 분양가 상한제 적용주택이지만 몇 달새 가격이 5천650만원 뛰었다. 급등한 공사비가 반영됐다는 게 건설사의 설명이다.
파주 운정신도시 분양가도 눈에 띈다. 부동산 급등기 시절, 운정신도시는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A 호재를 타고 집값 상승세가 두드러졌던 곳이다. 그러나 부동산 침체기를 거치며 집값이 하락했으나 최근 GTX 개통이 임박하면서 주택 거래량이 늘고 있다.
최근 분양에 돌입한 H건설이 와동동에 공급하는 단지는 분양가상한제 적용을 받는다. 전용 84㎡ 공급 최고가는 7억9천990만~8억880만원에 달한다. 운정신도시 대장주 동패동 '운정신도시 아이파크' 전용 84㎡ 19층 주택은 이달 7억5천만원에 실거래됐다. 분양가가 시세보다 비싸게 책정된 셈이다.
경기도 아파트 분양가 상승률은 가파르다. 부동산R114에 따르면 올해 경기도 아파트 3.3㎡당 평균 분양가는 1천869만원으로 전년 대비 18.4% 올랐다. 전국 3.3㎡당 평균 1천801만원을 뛰어 넘는 수치다. 같은 기간 서울은 0.2%, 인천은 0.1% 하락을 기록하며 보합권에 머물렀다. 수도권 중 경기도만 크게 올랐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예비청약자들의 곡소리가 커진다.
실제 아파트 실거래가 앱 '호갱노노'에선 신규 아파트 1순위 청약이 다가올 때마다 관련 커뮤니티 내에서 분양가가 늘 언급된다. 커뮤니티에선 '분양가상한제 적용 주택인데 비싸다. 지자체가 왜 분양가를 승인했는지 모르겠다'는 내용의 하소연 글이 심심치 않게 올라오는 중이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전셋값도 요동치는 중이다. 서울에서 시작된 전셋값 상승세가 경기도로 확산하고 있어서다. 고금리에 매수심리가 위축되면서 전세를 찾는 이들이 증가한 영향으로 해석된다.
경기도는 수원 팔달구 전세 매물 감소가 두드러졌다. 지난 4일 기준 아파트 전세 매물은 405건으로 1년 전 대비 73.9% 줄었다. 매물이 줄면서 전셋값은 오름세다. 팔달구 3.3㎡당 전세가격은 올 1월 901만원에서 지난 9월 1천2만9천원으로 8개월 만에 101만9천원 뛰었다.
전세가격은 집값의 선행지표다. 실제 집값 폭등기엔 전세가가 오르면서 매매가도 덩달아 올랐다.
과거를 겪었던 이들이 전세가 흐름을 예의주시하는 이유다. 분양가는 치솟고, 전세가격은 우려되고. 가파른 고금리까지 더해진 요즘, 경기도 무주택자의 내 집 마련은 점점 멀어지고 있다.
/윤혜경 경제부 기자 hyegyung@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