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 2045년 '0'… 전문가 제언
알기쉽게 홈피에 시각화 자료 제작
흡수원 확보 정책개발 적극 나서야
"내년부터 인식 제고·체감형 추진"
탄소중립(Net Zero)은 기후위기 대응의 핵심 전략 중 하나다. 기후위기의 원인으로 지목되는 탄소를 배출된 만큼 흡수해 '0(제로)'로 만든다는 개념이다.
인천시는 정부 계획보다 5년 앞선 2045년에 탄소중립을 이루겠다고 공식 선언했다. 올해 인천시가 발표한 '2045 인천시 탄소중립 전략(로드맵)'을 보면, 2018년 인천의 탄소 배출량은 7천481만3천tCO2eq(이산화탄소 환산량). 2030년에는 4천942만3천tCO2eq까지 줄이고, 2045년에는 탄소중립을 이뤄 '0'으로 만들겠다는 게 인천시 목표다.
지역의 환경 전문가들은 인천시가 탄소중립에 대한 의지를 표명한 것에 대해선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다만 선언에서 그치지 않고 실현으로 이어지려면 시민 눈높이에 맞출 필요가 있다는 조언을 남겼다.
최혜자 인천 물과미래 대표는 "탄소중립은 기업(산업)의 노력으로만 이루기 어렵고, 시민들이 적극적으로 동참해야 한다"며 "시민들, 그리고 학생들의 눈높이에 맞는 탄소 로드맵도 필요해 보인다"고 했다. 이어 "인천시의 탄소중립 이행 정도를 시민들이 한눈에, 쉽게 알 수 있도록 시청 홈페이지에 시각화 자료로 만드는 것도 좋은 방법"이라며 "탄소중립이 실현되는지 정기적으로 모니터링하는 차원"이라고 말했다.
탄소 배출원 감축 못지 않게 '흡수원'을 확보하는 것도 중요하다는 의견도 있었다. 탄소중립은 배출되는 탄소량을 줄이는 것뿐 아니라 흡수량을 늘리는 방식으로도 이룰 수 있다.
이희관 인천대 도시환경공학부 교수는 "현재 정부와 지자체의 정책 기조는 '탄소 저감'과 다를 바 없다"며 "흡수원 확보에 대해서도 적극적으로 정책 개발에 나서야 한다"고 했다. 이어 "인천의 기업들을 환경·기후 분야 쪽으로 키워 자연스럽게 탄소중립을 이뤄나가는 방안도 검토해볼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인천시는 내년도 탄소중립 실천 전략으로 '시민실천 분야'를 강조할 계획이라고 했다. 인천시는 내년부터 1기 탄소중립 시민실천단을 모집하고, 탄소중립 관련 물품 지원 사업을 시행하는 등 시민체감형 정책을 늘릴 방침이다.
인천시 관계자는 "올해는 탄소중립 2045 로드맵을 만들며 의지를 다진 원년이라면 내년부터는 시민 체감형 정책으로 이어갈 생각"이라며 "내년 상반기 중 시민들의 인식을 제고하고 함께 동참할 수 있도록 사업들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유진주기자 yoopearl@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