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문화교육을 위한 환경 조성을 서둘러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지난 13일 인천시 교육청이 마련한 인천 지역 다문화 교육 정책 포럼에서 참석자들은 다문화 자녀들과 비(非) 다문화 학생도 함께 다문화 수용성을 제고할 수 있는 통합적 교육환경을 구축해야 한다는데 의견의 일치를 보았다.

인천시의 다문화 교육 환경은 급속하게 바뀌고 있다. 지난 4월 기준, 인천 전체 초등·중등학교 536곳에서 다문화 학생이 재학 중인 학교 비율은 96%(517곳)로 집계됐다. 올해 인천 다문화 학생 수(1만2천258명)는 전년 대비 12.5% 늘어나면서 전국에서 가장 빠른 증가율을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현재 인천시의 실제 거주 외국인 주민은 2017년 10만명을 돌파한 이후 2019년에는 13만292명으로 매년 큰 폭으로 증가하고 있는 통계가 반영된 결과이다.

지금까지는 한국어학급 운영 중심의 다문화교육 정책인데 이마저 예산 부족으로 충분치 못한 형편이다. 현재 학교 현장의 다문화교육 실태는 이주노동자와 국제 결혼 가정 자녀들을 위한 한국어 이해능력을 높이는 수준을 넘어서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이로인해 학교현장에서 다문화 교육에도 불구하고 학업을 중도에 포기하는 다문화 학생은 늘어나고 있는 결과로 나타나고 있다.

학교와 교실을 다문화 사회를 반영한 다문화 교육환경으로 바꾸는 정책이 시급하다. 우선 학교 내에서 다문화 가정의 자녀들이 모국과 한국의 이중 언어, 이중 문화에 적응하도록 하는 교육 프로그램과, 비다문화 학생도 다른 언어와 다른 문화에 적응하는 문화 통합형 교육 프로그램으로 바뀌어야 한다. 다문화 학생과 한국 학생이 서로 다른 언어, 다른 문화를 함께 배우고 가르치는 통합 모델이다. 현실은 '다문화'라는 용어가 학교에서 다문화 가족과 자녀를 차별하는 용어로 인식될 정도이니 안타깝다.

다문화교육환경은 학교의 노력만으로 이뤄질 수 없다. 학교 밖의 지자체와 민간기구 등의 지역사회도 입체적으로 협력해야 다문화 가족의 자녀들이 소외되지 않고 우리 사회의 건전한 구성원으로 성장할 수 있다. 재원에 대한 대책과 별도로, 다문화-비 다문화 통합교육 프로그램, 학교와 지역사회 통합교육환경 조성 프로그램이라는 전략적 목표는 확인된 셈이다. 이제 인천시와 교육청이 입체적이고 통합적인 다문화교육 환경 조성과 이를 구체화하기 위한 실행 방안을 제시해야 할 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