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의 장제원 의원의 불출마 선언과 김기현 대표의 사퇴가 이루어졌지만 당이 어떠한 방향으로 혁신을 해 나갈 지는 이제부터의 선택에 달렸다. 당이 비상대책위원회 체제로 전환하기로 했지만 비대위 이후 공천관리위원회와 선거대책위원회를 여하히 운영하느냐도 중요한 변수다. 이보다 더 본질적인 부분은 윤석열 대통령의 변화 여부다. 장 의원과 김 전 대표의 불출마, 사퇴에도 윤 대통령이 관여한 정황은 여전히 공고한 수직적 당정 관계를 보여준다. 국민의힘 내부에서 초선의원들의 대통령실 눈치보기는 극에 달해 있다. 이렇듯 당내 의원들이 혁신과는 거리가 먼 행보를 하는 것은 윤 대통령에게서 변화의 조짐을 발견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여당을 대통령의 지시에 복종하는 '용산 2중대'로 계속 남게 한다면 비대위원장이 누가 돼도 여당의 총선 승리는 점점 멀어질 수밖에 없다.

대통령 지지율이 30%대에 머문다면 여당의 혁신은 한계가 뚜렷하다. 내년 총선은 정권 출범 후 2년이 지난 시점에 치러지는 선거이기 때문에 정권심판론이 작동할 수밖에 없는 선거이기 때문이다. 물론 더불어민주당 내부의 사정도 통합과는 거리가 먼 당 대표의 사법리스크 때문에 어수선하기는 마찬가지이지만 여야 정당들 모두 리스크에 노출되어 있다면 여당이 더욱 어려운 선거를 치르게 된다.

여권은 비대위 출범 이후 특단의 쇄신 카드를 내놓아야 한다. 우선 인요한 혁신위가 제안한 혁신안 중 국회 개혁과 관련된 사안들은 물론이고 조만간 야당이 발의할 '김건희 특검법'에 거부권을 행사하지 말고 정면돌파함으로써 여권에 대한 국민의 인식을 바꿔야 한다. 여권 내부에서는 특검을 수용하면 총선 기간 내내 김건희 여사 의혹 관련 보도가 언론을 장식함으로써 더욱 불리해질 것이라는 점 때문에 거부권 행사는 거의 기정사실에 가까워 보인다. 그러나 현재의 여권의 입지를 고려하면 역발상이 필요하다. 도이치모터스 주가 조작 사건에 김 여사가 아무런 연관이 없다면 오히려 야당과 특검에 대한 국민의 비판이 거세질 것이기 때문이다.

총선에서 여권이 패배하면 이후의 윤 대통령의 입지가 좁아질 것은 물론이고 조기 레임덕이 도래할 수도 있다는 위기의식을 가져야 한다. 그런데도 대통령실의 참모들은 양지에 출마하려는 갈등을 노출하고 있으니 아직도 문제의 심각성을 모르고 있는 것 같다. 윤 대통령의 변화가 여권 혁신의 본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