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보고서' 1m 증가땐 2.01% 하락
건설업·금속제조업 등 타격 커져
기후변화 대응 지자체별 움직임 필요
경기연 "道 차원 거버넌스 구축을"
연간 총 강수량이 1m 늘수록 경기도의 1인당 지역내총생산(GRDP)이 2.01% 하락한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기후 위기가 지역 경제에도 막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이다. 경기도가 신재생에너지 전환 추진을 통해 기후 위기 시대에 대비하고 있지만, 이격 거리·영농형 태양광 규제 등으로 난항을 겪고 있어 복합적인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한국은행이 지난 18일 발표한 '기후변화 물리적 리스크의 실물경제 영향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연간 총 강수량이 한 단위(1m) 증가할 때 경기도의 1인당 GRDP는 2.01% 하락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m 증가 시 지역 평균 하락률(2.45%)과 같은 수도권인 서울시(2.54%)와 인천시(3.43%) 하락률보다는 낮은 수치다. 한은의 이번 보고서는 국내 기상 관측 자료의 강수량과 기온 변동 누적치 등을 활용해 기후 위기가 1인당 GRDP 성장률에 미치는 영향을 토대로 분석했다.
산업별로 보면 건설업(-9.84%)과 비금속광물 및 금속제품 제조업(-6.78%), 금융 및 보험업(-3.62%)에서 기후 위기에 따른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실외에서 하는 생산 활동이 많고 노동생산성이 영향받는 산업일수록 감소율이 크다.
연 평균 기온과 연 총 강수량 등 기후 변화 영향이 5년 동안(2022년~2027년) 누적되는 상황을 가정하면 경기도의 하락률은 0.36%로 나타났다. 하지만 도시·산업화 수준이 높은 지역일수록 기후 위기 영향을 크게 받는 것으로 분석돼 수원시, 성남시 등 도심 지역에선 더 타격이 클 것으로 추측된다. 실제 대전시(-1.54%)와 부산시(-1.31%), 대구시(-1.03%), 인천시(-0.93%), 서울시(-0.75%) 등 광역시는 기후 변화 영향이 누적됐을 때 성장이 하락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이번 보고서를 발표한 이지원 한은 금융안정국 지속가능성장연구팀 과장은 "지구 평균 기온이 상승하면서 국내 기후 조건이 다변화해 현재까지 관측된 중간값보다 평균 기온이 높아지고 총 강수량이 증가할 수 있다"며 "경기도는 건설업 등 주력 산업과 기초단체별로 각 특성을 고려한 대응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경기도는 이미 지난 4월 '경기 RE100 비전'을 선언하며 탄소중립을 위해 신재생에너지 전환을 추진하고 있다. 다만 신재생에너지 설비를 늘리는 데 어려움이 있는 상황이라 대응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고재경 경기연구원 기후환경연구실장은 "경기도의 경우 군사시설도 많고 토지이용규제도 적지 않다. 또 12개 시·군은 이격거리·영농형 태양광 규제 등이 있어 신재생에너지 설비를 늘리기 어려운 상황"이라며 "신재생에너지 설비를 투자하는 기초단체에 인센티브를 제공하고 경기도 차원의 거버넌스 구축 등을 통해 대비해야 한다"고 했다.
/김동한기자 dong@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