효율적 광역교통체계 토론회

3개시도 하나의 생활권 묶어
지속적 협의 문제 해결해야


국토교통부 'K-패스', 서울시 '기후동행카드', 경기도 'The 경기 패스' 등 각기 다른 대중교통 요금 지원 정책이 난립하는 가운데 효율적 운영 체계를 모색하는 정책 토론회가 21일 인천시청에서 열렸다.

이날 토론회에 조응래 전 경기연구원 부원장과 석종수 인천연구원 교통물류연구부장이 발제자로 참여했다. 또 김준성 인천시 교통국장, 한승민 경기도 광역교통정책과 첨단교통팀장, 한영준 서울연구원 도시교통연구실 연구위원, 이한구 인천시 시정혁신단 위원이 토론자로 나섰다.

경기도는 지역 교통 특성상 기후동행카드 참여가 불가능하다고 강조했다.

경기도 한승민 첨단교통팀장은 "시내버스, 좌석버스, 광역버스를 비롯해 요금 체계가 별도인 신분당선 등 경기도의 대중교통은 매우 다양하다"며 "요금 체계가 제각각인 점을 고려해 정기권보다는 사후 지급 방식의 교통 정책이 적합하다"고 말했다.

서울연구원 한영준 연구위원은 요금지원 정책 단일화 필요성에 공감하면서도 최소한 각 지자체의 교통정책이 연계될 수 있어야 한다고 했다. 그는 "공통된 목표는 시민과 도민이 편해야 한다는 것"이라며 "한정된 자원으로 어떤 대상에 지원이 집중되는지에 대한 각 지방자치단체의 정책 철학을 조정하면 새로운 형태의 카드가 나올 수 있다"고 말했다.

인천시는 수도권 3개 시·도가 수시로 머리를 맞대 시민 선택의 폭을 넓혀야 한다고 주장했다.

인천시 김준성 국장은 "기후동행카드는 월 6만5천원 이상 쓰는 사람이 유리하고 국토부의 K-패스는 그 이하가 유리하다"며 "수도권이 하나의 생활권이라는 관점 아래서 하나하나 문제를 풀어가야 한다"고 했다.

이에 조응래 전 경기연구원 부원장은 "이미 2019년 알뜰교통카드라는 사업을 추진했고 내년부터 K-패스 사업으로 확대하기로 했는데 서울시에서 기후동행카드를 발표했다"며 "기존 정책에 힘을 싣지 않고 다른 형태의 사업을 하겠다는 것은 정책의 지속가능성을 해친다"고 지적했다.

인천연구원 석종수 부장은 "정기권은 판매 후 수십 곳의 운수회사에 배분하는 문제가 굉장히 복잡하다"며 "수도권이 모여 지속적인 협의를 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조경욱기자 imjay@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