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약제 없이 즉시콜로만 운영 불편
출퇴근·등하교 시간 수요 감당 못해
시군별 이용 제각각 예약 도입 난항
형평성 우려·유연운행 불가 의견도
공급 늘리려면 인건비 확보 과제로
"아이가 혼자 집으로 못오니까… 조기 하교시킬 수밖에 없죠."
동두천에서 양주로 통학하는 뇌병변 아이를 둔 홍혜경(40·여)씨는 특별교통수단(장애인콜택시)이 경기도 광역이동지원센터로 통합된 10월 이후 아이를 조기 하교시키거나 혹시 모를 상황에 대비해 마음 졸이며 대기하는 것이 일상이 됐다.
그는 "특별교통수단의 예약제가 없어져 배차시간이 짧게는 10분부터 길게는 2시간까지 복불복"이라며 "일방적으로 예약제를 없앤 것은 그야말로 탁상행정이다. 병원이나 학교에 가는 경우라도 예약이 가능하게 해줘야 한다"고 울분을 토로했다.
경기도 광역이동지원센터가 제각기 이용규정으로 혼란을 빚고 있는 가운데(12월27일자 3면 보도=시군 통합에도 규정 제각각… 광역이동지원센터 '불편 경적' 여전) 예약제 없이 즉시콜로만 운영돼 이용객이 원하는 시간에 탑승하지 못한다는 불만의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27일 경기도 등에 따르면, 도는 지난 10월부터 통합 운영을 시작한 광역이동지원센터를 통해 관외 이동하는 특별교통수단을 접수·배차하고 있는데 이 과정에서 평균 1시간이 넘는 배차 대기 시간 동안 기약 없이 대기하거나 제시간에 이동하지 못하는 불상사가 발생하고 있다.
현재 경기도에는 1천197대의 특별교통수단이 운행 중이며, 이는 법정대수의 146% 수준이지만 이용수요가 몰리는 출·퇴근 및 등·하교 시간대에는 여전히 수요를 감당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시·군별로 이용실태가 천차만별이라 경기도는 의견 조율을 통한 예약제 도입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예약제를 도입할 경우, 예약 대상에 대한 형평성 문제가 우려될뿐더러 즉시콜에 비해 유연하게 차량을 운행하지 못한다는 의견도 만만치 않다는 설명이다.
상황이 이렇자, 근본적으로 도내 특별교통수단의 공급을 늘려야한다는 주장이 제기되지만 이 또한 비용을 충당하기 힘들다.
특히, 차량 대수에 비해 운전자 수는 적어 운행되지 못하고 쉬는 차량이 많지만 운전자 수 확대를 위한 인건비를 확보하는 것이 난관이다. 도내엔 1천337명의 운전원이 있어 차량 1대당 운전자 수는 1.1명 수준이다. 차량 1대당 운전자 수가 2명 수준이어야 24시간 운행하는 특별교통수단의 수요를 감당할 수 있을 것으로 분석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도는 서울·인천과 협약을 체결해 특별교통수단을 수도권으로 확대 운행할 것이며, 현재 광역 전담 차량 중 10%를 배차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제각기 이용규정과 즉시콜 도입 등으로 빚어진 혼란이 해결되지 않은 채 사업 확대 방침을 밝혀 광역이동지원센터 운영에 우려가 더해지는 지점이다.
이와 관련 도 관계자는 "상황을 인지하고 있어 운전자 수 확보를 위한 기준 마련을 정부에도 꾸준히 건의하고 있지만 인건비 문제로 운전자 수를 곧바로 늘리긴 어려운 상황"이라며 "시·군에 차량 운행과 운전자 관리 권한이 있고, 도는 배차 권한만 가지고 있다. 도 차원에서도 각 시·군에 예약제 도입과 운전자 수 확대를 권유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영지기자 bbangzi@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