섬지역 보급률 도시지역 비해 격차

강화군은 79.7%… 마을수도 의존

가뭄땐 사용 어렵고 오염 취약 단점

수도시설 전환 비용 130만원 ‘부담’

市 “시민들 적극 신청참여가 우선”

강화지역 2023년 마을수도시설 폐지지역
강화지역 2023년 마을수도 시설 폐지지역./인천시상수도사업본부 제공

인천지역 전체 상수도 보급률은 100%에 이르지만 강화군과 옹진군 등 섬 지역 상수도 보급률은 크게 못 미쳐 도시 지역과 섬 지역 격차가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섬 지역 주민을 위한 상수도 설치비 지원 등 획기적인 대책 마련이 시급해 보인다.

9일 인천시상수도사업본부에 따르면 강화군과 옹진군의 상수도 보급률은 각각 79.7%, 38.1%로 나머지 8개 자치구 평균 99.8%를 크게 밑돌았다. 상수도 보급률은 지방상수도 급수인구를 총 인구수로 나눈 숫자에 100을 곱한 비율이다.

상수도가 보급되지 않은 지역 주민은 ‘마을수도시설’에 의존하고 있다. 강화군은 151개소, 옹진군은 63곳의 마을수도시설이 설치돼 상수도를 대체하고 있다. 강화군은 전국 특·광역시 내 기초자치단체 중 가장 많은 마을수도시설이 있다.

북도면 지방상수도 첫 통수 기념식5
지난달 18일 오후 인천시 옹진군 북도면 신도2리에서 열린 ‘북도면 지방상수도 첫 통수 기념식’에서 유정복 인천시장(사진 오른쪽)과 문경복 옹진군수(사진 가운데)가 상수도가 설치된 집주인과 함께 수돗물을 틀어보고 있다. 2023.12.18 /조재현기자 jhc@kyeongin.com

마을수도시설은 해당 지역 지하에 관정을 뚫어 끌어 올리는 지하수를 취수원으로 하는데, 높은 지역에 물탱크를 설치한 뒤 약품 처리를 해 각 가정에 보내는 체계다. 규모가 큰 급수인구 100~2천500명 시설을 ‘마을상수도’, 그보다 작은 급수인구 100명 미만의 시설을 ‘소규모 급수시설’로 구분해 부른다. 강화군 1만4천여명, 옹진군 1만2천여명이 이 마을수도시설에 의존해 생활하고 있다.

마을수도시설을 사용하면 도시와 비교해 여러모로 불편한 점이 많다. 가뭄이 심할 경우 물을 쓸 수 없는 경우가 있고, 지하수 오염에도 취약하다. 또 마을 주민들이 물탱크 등의 시설을 직접 관리해야 하는데, 섬지역 주민들이 나이가 많다 보니 제대로 관리하기가 어렵다.

마을수도시설 운영·관리에 시설 1곳당 1천200여만원 이상의 비용이 투입이 된다. 반면 마을수도시설을 통해 벌어들이는 수입은 없다. 마을수도시설에는 이용료를 부과하지 않는다.

상수도 보급률을 높이려면 마을수도시설을 상수도로 전환해야 한다. 강화군에 있는 마을수도시설의 경우는 대부분 상수도 전환이 가능하다. 하지만 만만치 않다는 것이 인천시의 설명이다.

우선 마을 주민들이 직접 전환을 신청해야 한다. 건물당 130만원의 비용을 부담해야 설치할 수 있다. 하지만 기존 마을수도시설을 무료로 이용하던 주민 입장에서는 선뜻 설치비를 부담하기 쉽지 않다. 또 상수도 전환 이후 요금을 내고 수도를 이용해야 하는 것을 부담으로 여기는 주민도 많다고 한다. 상수도로 전환하려면 상수도 관로를 매설하는 구간의 소유주 동의가 필수적인데 이것도 원활하지 않다. 상수도 공급이 가능하다는 사실을 모르고 관성적으로 마을수도시설을 이용하는 주민도 많다고 한다.

인천시 상수도사업본부는 2021년부터 2025년까지 강화지역 25개 마을수도시설을 지방상수도로 전환해 폐지하는 것을 목표로 단계적으로 추진 중이다. 현재 27개소를 폐지해 당초 목표를 넘어섰지만 아직도 150여 마을수도시설이 운영 중이다.

인천시 상수도사업본부는 2021년부터 2025년까지 강화지역 25개 마을수도시설을 지방상수도로 전환해 폐지하는 것을 목표로 단계적으로 추진 중이다. 현재 27개소를 폐지해 당초 목표를 넘어섰지만 아직도 150여 마을수도시설이 운영 중이다.

인천시상수도사업본부 관계자는 “마을수도시설 전환하려면 주민들의 적극적인 신청이 가장 중요하다”면서 “상수도 공급이 가능한 마을 주민을 상대로 적극적으로 홍보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