ㄴㅇ231.jpg
세계 최대 규모의 '첨단 시스템 반도체 클러스터'가 조성될 용인시 남사읍 전경. /경인일보DB
 

윤석열 대통령이 15일 수원에서 밝힌 경기남부 반도체 메가 클러스터 청사진은 역대급이다. 일각에서는 지난해 3월 발표된 '국가첨단산업 육성전략' 중 반도체 분야만 떼어내 구체화한 것에 불과하다고 폄하하지만 구체화된 규모가 어마어마하다. 2047년까지 기업이 622조원을 투입하고 정부는 세제, 인프라 구축, 인력양성을 지원하는 내용이다.


역사상 전례를 찾기 힘든 민관투자 규모이자, 무려 20년 이상이 걸리는 장기 투자이다. 클러스터에 포함된 수원, 화성, 용인, 평택, 성남, 안성, 이천 등 경기 남부 도시들의 미래에도 결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 분명하다. 그런데 신기하게도 이들 도시는 특별한 반응이 없다. 앞서 언급한 대로 이번 청사진은 이미 1년 전 그 얼개가 공개됐지만, 지금까지 정부와 기업의 계획에 조응할 수용전략을 밝힌 지자체들은 전무하다.

미국 텍사스주의 오스틴시와 테일러시는 삼성전자의 투자계획으로 도시 자체가 변했고 변화중이다. 반도체 메가 클러스터에 포함된 경기남부 도시들도 622조원이 계획대로 20년 넘게 투자된다면 지역에 경천동지할 변화가 진행될 것이다. 이런 변화를 수용할 지역발전 전략을 수립하는 일은 너무도 당연하다.

특례시인 수원, 용인시와 인구 100만을 돌파한 화성시는 지역 최대의 고민인 역내 불균형을 해소할 절호의 기회이다. 정부의 기업 투자 효과를 지역균형 발전으로 확대할 방안을 같이 모색해야 한다. 예를 들면 수원시와 화성시가 수원·화성 군공항을 클러스터 요충지로 합의한다면, 기업에겐 더 좋은 투자 여건이 생기고 두 도시는 역내 균형발전의 호재를 만들 수 있다.

아예 경기도와 반도체 도시들이 공동으로 반도체 메가 클러스터의 지역 균형발전 효과를 극대화할 방안을 만들어 정부와 투자기업을 설득할 수 있고 청사진을 확대 변경할 수 있어야 한다. 도시별로 흩어진 클러스터를 유기적으로 연결할 거주, 교통, 교육 등 배후 인프라를 역내 소외지역에 집중할 계획을 만들어야 한다.

20년 이상의 장기 투자계획은 정권의 변덕이나 해외의 강력한 투자유인 조치 등으로 언제든 흔들릴 수 있다. 정부의 의지뿐 아니라, 투자 지역 도시들의 적극적인 호응이 필수적이다. 투자 기업들에게 더욱 매력 있는 땅과 기회를 제공하는 경기남부 도시들의 경쟁과 협력이 병행되면 20년 622조원 투자계획을 더욱 키울 수 있다. 622조원에 아무 반응이 없는 도시들이 이상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