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각한 저출생에도 '되레 증가' 주목
사회적 요인 커 "출생률도 높여야"
市 '1억 플러스 아이드림' 등 추진

인천광역시 주민등록인구가 300만명을 넘어섰다. 우리나라 전국 특별·광역시 가운데 주민등록인구가 300만명을 넘는 도시는 인천과 서울, 부산뿐이다. 시기적으로 인천 인구 300만명 돌파는 1980년 부산에 이어 44년 만이다.

인천시는 주민등록인구가 1월29일 오후 6시 기준 300만43명으로 집계됐다고 30일 밝혔다. → 그래프 참조

2024013101000373800037081

총인구는 주민등록인구와 외국인을 포함해 산정하는데, 주민등록인구 300만43명과 외국인 8만1천16명을 합하면 모두 308만1천59명이다. 외국인을 포함한 인천 총인구는 지난 2016년 10월 300만명을 넘어선 바 있다.

인천은 인구가 감소하는 다른 도시와 달리 오히려 늘었다.

지난해 42만4천명이 인천에 전입했고, 39만1천명이 전출했다. 이날 통계청이 발표한 2023년 국내인구이동통계를 보면 지난해 인천 '순유입률'은 1.1%로 전국 17개 시도 가운데 가장 높았다. 순유입률은 전체 인구에서 순이동이 차지하는 비율이다. 순이동은 전입자에서 전출자를 뺀 숫자다.

인천시는 주민등록인구 증가를 검단신도시·송도국제도시·용현학익지구 신규 아파트 공급 등 '사회적 요인'에 따른 것으로 보고 있다. '자연적 요인'만 따져보면 좋지 않다. 지난해 인천 출생아는 1만3천899명인 반면 사망자는 1만8천278명으로 사망자 수가 출생자 수보다 4천379명 많았다.

인천시 관계자는 "대규모 주택 공급이 없어도 지금과 같은 인구 증가세를 유지하려면 청년 유입을 늘리고 출생률도 높이는 정책이 뒷받침돼야 한다"며 "이사를 오고 싶고, 아이를 키우며 살고 싶은 도시로 만들기 위해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설명했다.

인천시가 인구 증가 등 행정 여건 변화와 생활권 분리에 따른 주민 불편 해소, 미래 행정 수요 등에 대응하기 위해 현재 2군·8구의 행정구역을 2군·9구로 변경하는 '인천형 행정체제 개편'을 추진하고 있다. '1억 플러스 아이드림' 인천형 출생정책도 추진 중이다.

인구 증가에 따라 적정한 행정 서비스와 도시 인프라가 뒷받침되지 않으면 삶의 질이 나빠질 수 있는 만큼 이에 대한 대비도 충실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김송원 인천경실련 사무처장은 "양적 성장뿐 아니라 질적 성장도 중요하다. 인구 증가는 긍정적이지만 교통·복지·행정 서비스 등 똑같은 '파이'를 많은 인구가 나눠 가지려면 그만큼 혜택이 적어질 가능성이 있다"며 "소외되는 이들이 없도록 정책적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성호기자 ksh96@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