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1월 문 닫고 유일 대안도 불발
주민들 이용불편·불법주차 등 호소
시립공영터미널 요구에… 市 "불가"


정부가 최근 휴·폐업 등 어려움을 겪는 버스 터미널을 위해 규제 개선에 나선 가운데, 폐업 1년이 넘은 성남종합버스터미널의 정상화 방안으로 여겨졌던 '매각'이 무산되면서 '길거리 버스타기'가 무한정 이어지게 됐다.

주민들은 안전·불편뿐만 아니라 불법주차 등의 문제를 제기하며 '시립공영터미널'을 요구하고 있지만 성남시는 '불가' 입장이어서 정상화가 요원한 모양새다.

31일 성남시·종합버스터미널 운영 민간업체 등에 따르면 성남 유일의 시외·고속 터미널인 성남버스터미널은 경영난을 이유로 지난해 1월1일 폐업했다. 이후 시는 터미널 상가 1곳을 임대해 임시 매표소를 설치한 뒤 바로 앞 도로에 버스 6대를 세울 수 있는 임시 터미널을 개설, 운영 중이다.

이용 불편·안전 등의 문제가 지속적으로 제기됐지만 시는 뚜렷한 정상화 대책을 내놓지 못한 채 민간 간 '매각'을 대안으로 제시해왔다. 하지만 작년부터 진행돼온 '매각'은 무산된 것으로 확인됐다. 운영업체 관계자는 "매입하려던 업체가 대금을 지불하지 못하면서 최종적으로 없던 일이 됐고, 나서는 다른 업체도 없는 상태"라고 밝혔다.

이에 따라 '길거리 버스타기' 등의 문제가 지속되게 됐다. 지난 29일 열린 '시민과의 새해 인사회'에서도 터미널 문제는 도마에 올랐다.

야탑1동 통장협의회장은 "불편이 많고 대형버스들의 불법주차, 공회전으로 인한 피해도 보고 있다"며 대책마련을 호소했다. 실제 주차할 곳을 찾지 못한 대형버스들이 터미널 인근 도로에 불법 주차돼 있는 모습은 다반사로 확인할 수 있는 상태다.

이에 대해 시 해당 부서장은 "현 소유자의 매각 추이를 살펴보고 전반적으로 검토한 후 빠른 시일내에 해결하도록 하겠다"고 답했고, 주민들의 야유가 나오기도 했다. 매각이 최종 무산됐는데도 이를 파악하지 못하고 있던 것으로 시가 사실상 손 놓고 있다는 지적이 나오는 배경이다.

신상진 시장은 "당장 시립터미널하자는 현수막도 붙어 있는데 어려울것 같다"며 "시도 많이 고민하고 있다. 이용하는데 불편함이 없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성남/김순기기자 ksg2011@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