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1.jpg
경기도내 한 행정복지센터에 걸려있는 출산지원 리플렛. /경인일보DB
 

인천광역시 주민등록인구가 300만명을 넘어섰다. 2024년 1월 29일 오후 6시 기준이다. 서울, 부산에 이어 3번째이며, 지난 1980년 부산의 300만명 돌파 이후 44년 만이다. 2018년 295만4천642명을 기록한 이후 오히려 줄어들어 300만명을 넘어서기가 쉽지 않겠다 싶은 적도 있었다. 하지만 2022년 296만7천314명으로 다시 늘어나기 시작하더니 드디어 300만명 선을 넘어선 것이다. 외국인 8만1천16명까지 합치면 총인구는 308만1천59명이다.


마침 통계청이 이번 주 초 발표한 2023년 국내 인구이동 통계를 보면 지난해 인천의 순유입률은 1.1%로 전국 17개 시·도 가운데 가장 높았다. 인천의 순유입률이 이렇게 높은 것은 주로 '사회적 요인' 때문이다. 검단신도시, 송도국제도시, 용현·학익지구 등지에서 신규 아파트 입주가 잇따랐다. 정부 통계에서 확인되는 고무적인 사실은 인천의 인구 순유입이 전 연령층에서 고르게 발생했으며, 그중에서도 특히 20∼30대의 순유입률이 높았다는 점이다. 20대는 서울과 세종에 이어 세 번째, 30대는 첫 번째로 각각 높았다. 이에 반해 '자연적 요인'인 출생률 면에선 인천도 전 국가적 상황에서 예외일 수 없었다. 지난해 인천 출생아는 1만3천899명으로 사망자의 76%에 그쳤다.

규모의 관점에서만 보면 인천은 이렇듯 국내 최고 수준의 도시로 성장했음에 틀림 없다. 그러나 질적인 측면에서 들여다보면 여전히 물음표투성이다. 정치와 행정의 수준은 시민들의 기대에 미치지 못하고, 주거의 조건은 몇몇 계획된 신도시를 제외하곤 변함없이 열악하다. 고속도로와 철도로 분리된 생활권은 주민 삶의 공간은 물론 의식까지도 분단하고 있으며, 교육은 지역 간 격차에 지역 내 격차까지 더해지는 이중고다. 송도와 청라국제도시가 '마계인천'의 이미지를 반전시키는 데 기여하고 있으나 치러야 할 대가 또한 만만치 않다.

질적인 성장이 뒤따르지 않는다면 인천은 여전히 서울의 외곽 집단 거주지에 불과하다. 껍데기만 조금 그럴싸해졌을 뿐이다. 네온사인이 화려한 베드타운과 다를 게 없다. 늦어도 많이 늦었지만 도시의 질을 높이는 방안에 대한 고민과 시도가 지금부터라도 새로 시작되어야 한다. '주민등록인구 300만명'이 지방정부와 지방의회, 그리고 300만 시민이 함께 인천의 질을 본격적으로 높이는 계기가 되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