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 개개인 경제여건 타도시 보다 뒤처져
전통제조업 구조·높은 부채비율 복합 작용
코로나19 같은 변수땐 경제지표 '곤두박질'
경제자유구역 성과 도심 고루 퍼지지 못해

김명호_-_오늘의창.jpg
김명호 인천본사 경제부장
인천시의 지역내총생산(GRDP)이 100조원을 돌파하며 부산을 앞질렀다. 서울에 이어 전국에서 2번째로 높은 수치로, 인천시는 '서인부대'(서울· 인천·부산·대구)라는 신조어까지 만들어내며 인천이 제2의 도시로 자리잡았다고 홍보에 열을 올리고 있다.

GRDP는 일정 기간 중 한 지역에서 생산된 모든 재화와 서비스의 가치를 시장가격으로 평가한 지표다. 도시의 경제적 수준을 나타내는 대표적 통계다.

통계청이 지난해 말 공표한 '2022년 지역소득(잠정)'을 보면, 2022년 인천의 GRDP는 2021년보다 5조8천억원 증가한 104조5천억원으로 집계돼 8대 특별·광역시 중 서울에 이어 2위를 기록했다.

2022년 인천의 실질 경제성장률은 6.0%로 전국 17개 시·도 가운데 전년 대비 가장 높은 성장세를 보였다. 지난해 6.4%의 성장률을 올린 데 이어 2년 연속 6%대 성장을 이어갔다.

인천의 성장률을 견인한 업종은 운수·창고업과 숙박·음식업 등 서비스업이었다. 운수·창고업은 2021년 대비 29.3%의 부가가치 성장률을 기록해 가장 높았고, 숙박·음식업도 18%의 성장률을 보였다.

코로나19 사회적 거리두기 해제와 단계적 일상회복으로 국외 여행과 수출·수입 등 물류산업이 활성화하면서 인천의 서비스업이 가파르게 성장했다.

통계치만 보면 도시 전체적인 경제 수준은 우려할 게 없을 정도로 올라갔다. 그렇다면 시민 개개인의 경제적 수준도 이렇게 나아졌을까.

통계청은 GRDP 지표를 공표할때 '1인당 개인소득'이란 것을 같이 내놓는다. GRDP가 기업을 포함한 인천의 모든 경제주체를 포함하는 개념이라면 1인당 개인 소득은 말 그대로 여타 다른 요소를 모두 제외하고 시민 1인당 소득을 산출한 통계다. 인천시 전체가 아니라 인천시민이 어느 정도 잘 사는지 가늠하기 위해선 이 지표를 활용해야 한다.

인천 지역 1인당 개인소득은 2천241만원으로 집계됐다. 전국 평균 2천339만원보다 적은 것으로 조사됐고, 전국 8개 특별·광역시 가운데 대구(2천237만원)에 이어 가장 낮은 수치를 기록했다. 서울 2천611만원, 울산 2천607만원과도 차이가 컸고 부산(2천258만원)에도 밀렸다. 2021년에도 인천의 개인소득은 8대 도시 중 6위에 그쳤다.

1인당 개인소득은 근로소득에 해당하는 피용자보수와 재산소득, 영업소득 등을 합산해 산출한다. 결국 인천이란 도시 자체는 전국에서 2위의 경제적 수준을 자랑하고 있지만 그 안에 사는 시민 개개인의 경제적 여건은 비슷한 규모의 다른 도시 사람들과 비교해 오히려 뒤처져 있다는 것이다.

부가가치가 높은 첨단산업보다는 전통 제조업 기반의 인천의 산업 구조에 더해 다른 도시보다 높은 개인 부채비율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라 할 수 있다. 결국 고임금을 받는 양질의 일자리가 아닌 저임금 근로자들이 많이 분포하고 있는 인천의 특성이 지표에 반영됐다.

이와 함께 인천의 성장률을 견인한 운수·창고업과 숙박·음식업 등도 공항과 항만이 위치한 인천의 특성이 반영된 것으로 코로나19와 같은 변수가 생길 경우 인천의 경제 지표는 곤두박질치게 된다.

인천시가 관심 가져야 할 것은 GRDP와 같은 외형적인 경제 지표가 아니라 내실 있는 인천의 경제 체질을 개선하는 것이다.

서울시가 2007년 도시개발사업지구로 지정해 개발을 완료한 마곡산업단지의 경우 상시 근로자 2명 중 1명은 첨단산업에 종사하는 전문연구인력이라고 한다. 입주기업의 연구개발 투자비용 또한 4조원을 넘는다. 산업단지에 더해 교통·주거·상업·문화예술 등 배후 기능이 마곡의 성공 요인으로 꼽힌다.

인천에선 경제자유구역이 마곡과 같은 역할을 하지만 그 성과가 도심 전체에 고루 퍼지지 못하고 있는 게 현실이다.

지금 인천시가 봐야할 건 GRDP 100조원 시대의 이면이다.

/김명호 인천본사 경제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