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3333.jpg
경기도 내 한 심야약국. /경인일보DB
 

심야시간대에 시민들이 이용하는 '공공심야약국'이 1개도 없는 지역들이 있다. 인천 강화군과 옹진군이다. 공공심야약국은 평일과 토·일요일 공휴일 새벽 1시까지 시민들이 약국을 이용할 수 있도록 자치단체장이 공공야간약국을 지정해 운영하고 이에 따른 운영 지원금을 정부가 지원해 주는 제도이다. 정부가 공공심야약국을 지원해온 지 3년째 되지만 비도심 지역의 심야 의약품 사각현상은 해소되지 않고 있다.

공공심야약국은 야간에 긴급하게 의약품이 필요한 시민들이 이용해온 응급의료시스템의 일부이다. 약 구입을 하지 않더라도 경증환자의 상담이나 응급상황에 대처하는 역할을 함으로써 의료공백시간에 시민의 건강을 지키는 역할을 해왔다고 평가되고 있다. 공공심야약국 확대는 2023년도 국민이 뽑은 최고의 민생규제혁신 사례로 선정된 바 있다.

국립중앙의료원 중앙응급의료센터에 따르면 인천지역 공공심야약국은 총 32개인데 계양구, 남동구, 미추홀구, 부평구, 연수구에는 각각 5개의 공공심야약국이 있다. 중구는 3곳, 서구와 동구는 2개씩 지정돼 있다. 인천 10개 기초자치단체 중 강화군과 옹진군에만 공공심야약국이 없다. 옹진군은 섬으로 이뤄진 데다 인구와 약국 수가 워낙 적어 공공심야약국이 운영되기 힘든 구조라 하지만 강화군은 육지와 이어져 있을 뿐만 아니라 인구가 6만9천여명에 이른다.

비도심형 지역에 심야약국을 운영하자면 심야시간에 근무할 파트 약사를 구해야 한다. 휴일 없이 365일 문을 열어야 하는 것도 부담으로 작용한다. 강화군의 경우 공공심야약국 신청을 독려하고 있지만 나서는 약국이 없는 실정이다. 지자체가 교통비와 소요시간을 고려한 추가 지원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옹진군의 경우 도서지역으로 백령도를 제외한 섬에는 약국이 없기 때문에 예산으로 해결하기 어려워 다른 방법을 찾아야 한다.

강화, 옹진과 같은 인천의 도서지역뿐 아니라 경기도 양평군과 비도심 지역에서도 공공심야약국 부재현상이 발생하고 있다. 도심지역의 경우 편의점에서 기초 상비약이라도 구할 수 있지만 비도심 지역 주민들은 아파도 참아야 한다. 공공심야약국은 시민들의 건강과 관련된 중요한 민생문제이다. 도서지역의 경우 약국도 적고 인력문제가 크다. 정부와 지자체는 이 제도의 안정적 운영을 위해서 지역특성을 감안한 지원방법을 찾아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