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공의 집단행동 8일 대학병원 스케치 (28)
정부의 의대정원 확대 정책에 반발하는 전공의 단체행동이 8일째 이어진 27일 오후 경기도내 한 대학병원에서 의료진들이 분주하게 움직이고 있다. 2024.2.27 /최은성기자 ces7198@kyeongin.com
 

정부는 최후통첩을 했고, 의료계는 여전히 강력하게 반발하고 있다. 이대로 가면 파국임이 분명함에도 양측의 힘겨루기는 계속되고 있다. 의료현장을 떠난 전공의들에게 정부가 복귀하라고 정한 시점은 내일(29일)이다. 이날까지 업무 복귀하는 전공의에 대해선 책임을 묻지 않겠지만 복귀하지 않을 경우엔 면허정지는 물론 수사·기소 등 사법절차를 밟겠다는 방침이다. 복귀 시한을 정한 것 자체가 정부의 입장에 변함이 없음을 보여준다. 윤석열 대통령도 엊그제 수석비서관회의에서 의대 2천명 증원 방침을 재확인했다. "국민이 아플 때 제대로 된 치료를 받도록 하는 것이 복지의 핵심이고 국가의 헌법상 책무"라고 강조했다. 법과 원칙대로 대응한다는 의미로 읽힌다.

의료계 또한 조금도 굽힘이 없다. 오히려 반발의 강도는 더 세진 모양새다. 의협 비대위는 정부의 예고된 조치를 "전공의들이 병원으로 돌아갈 수 있는 모든 다리를 파괴하는 행동"이라고 비판하면서 "전공의가 다치면 모든 의사 회원들의 분노가 극에 달해 의료현장의 혼란이 불가피해질 것"이라고 경고했다. 현재 전공의들의 공백을 메우고 있는 전임의들의 계약기간이 대부분 2월 말로 끝나는데 이들까지 재계약을 하지 않으면 의료 공백은 더 커질 수밖에 없다. 지역 일부 의과대학에서는 전공의 파업을 지지하는 학생들도 수업거부와 휴학에 나서고 있다. 인천의 한 의과대학 재학생 250여명의 사례다. 일부 의대 졸업생들은 수련병원에서의 인턴 임용을 포기하는 방식으로 집단행동에 뛰어들었다. 학생들까지 선배들의 뜻을 좇아 배움의 현장을 이탈하면서 의료현장의 인력공백 확산 우려를 더욱 더 키우고 있다.

의료계는 표현이 상스럽다 말할지 모르겠으나 이 힘겨루기는 분명 의사들의 '밥그릇' 싸움이다. 이 밥그릇 싸움 과정에서 벌써부터 애꿎은 국민만 죽어나가고 있다. 대전에서는 80대 심정지 환자가 119구급차에 실려 전화로 이곳저곳 진료가 가능한 응급실을 찾다가 결국 이송 도중 숨졌다. 가족들은 연명을 위한 추가의료 중단 결정을 내려야만 했다. 일찌감치 우려했던 일이다. 같은 사례가 더 발생하기 전에 정부와 의료계가 대화의 테이블을 마련하고 서둘러 다시 마주앉아야 한다. 숨진 환자와 가족들이 그 좁은 구급차 안에서 느꼈을 당혹, 분통, 체념, 슬픔을 생각한다면 그보다 무엇이 더 급하고 중한 의제가 되겠는가. 마침 시한통보까지 주어진 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