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응답률' 작년 6월 44.9% 달해
1인가구 증가·코로나 여파 원인
스마트 방식·답례품 확대 고민


코로나19 팬데믹 기간을 거치면서 통계청 조사 무응답률이 상승한 가운데, 가계 소득과 지출 등을 파악하는 가계동향조사의 무응답률은 지난해 절반 가까이로 늘어난 것으로 확인됐다. 무응답률 증가가 국가 통계 조사의 신뢰도 하락으로 이어지는 만큼 보완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3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6월 기준 가계동향조사의 무응답률은 44.9%로 나타났다. 이는 전년 동월 대비 7.2%포인트 오른 수치다. 무응답률은 지난해 1월 기준 40.7%를 기록한 이후 40%대를 유지하는 실정이다. 가계동향조사는 가계의 수입과 지출 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7천200여 가구를 표본으로 선정해 매달 진행하는 조사다.

가계동향조사를 실시하려면 응답자가 문을 열고 자신의 시간을 할애해야 하지만 우호적인 응답자가 줄어든 게 무응답률이 높아지는 요인 중 하나다. 1인 가구 증가와 개인주의 성향 확산 등이 원인이다. 코로나19 팬데믹 여파도 컸다. 가계동향조사의 무응답률은 코로나19가 확산하기 시작한 2020년 35%, 2021년 32%로 집계됐다. 2019년 가계동향조사 소득 부문 무응답률이 22.3%였던 것을 감안하면 확연한 차이다.

이런 상황은 1인 가구 비율이 높은 수도권에서 더욱 두드러진다는 게 통계조사원들의 설명이다. 수도권에서 근무하는 통계조사원 A씨는 "1인 가구가 많아 낮엔 조사 진행이 되지 않는다. 그러면 이른 저녁이나 밤에 조사를 진행해야 하는데 피로가 쌓인 응답자들이 우호적으로 응하지 않는 상황"이라고 토로했다.

무응답률이 높아지면 국가 통계 조사 결과의 신뢰도도 하락하기 마련이다. 이에 통계청도 답례품 가격을 상향하는 등 무응답률을 낮추기 위해 고민하고 있다. 농어가경제조사의 경우 조사 답례 상품권 금액을 올해 3만원에서 4만원으로 올렸다. 지난해엔 지역별 고용조사의 답례품을 5천원에서 1만원으로 늘렸고, 답례품을 주지 않던 농림어업조사 응답자에게도 1만원을 지급하기 시작했다.

또 통계청은 스마트 조사 방식을 도입해 응답자의 편의를 높이고 있다. 스마트 조사는 응답자가 편리한 시간에 원하는 조사 방법을 선택해 응답할 수 있도록 했다. 대면뿐만 아니라 컴퓨터, 모바일 기기 등 응답 방식을 여러가지로 늘려 조사한다.

통계청 관계자는 "응답자들의 여건에 따라 선택과 집중을 하고, 조사의 품질을 높이기 위해 2022년 스마트 조사를 도입했다"며 "현재는 사업체 대상 조사에만 스마트 조사를 적용하고 있는데 향후 가계나 농업 대상 조사 등으로 확대할 계획"이라고 했다.

/김동한기자 dong@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