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등 4자 협의체, 대체매립지 공모

오는 28일부터 90일간 추진

자원순환공원으로 지원금도 3천억원

경기도와 환경부, 서울시, 인천시가 수도권매립지 정책 4자 협의체의 매립지 정책 논의에 따라 대체매립지 입지후보지 3차 공모를 오는 28일부터 90일간 추진한다.

25일 경기도에 따르면 4자 협의체는 이날 이러한 내용을 담은 ‘수도권해안매립조정위원회’에 3차 공모계획을 보고했다.

이번 3차 공모는 지난 2021년 2차례 공모가 응모 지자체 없이 끝난 이후 대체매립지 조성에 대한 논의가 주춤했으나, 지난해 2월 이뤄진 4차 협의체 기관장 회동에서 대체매립지 조성 논의 필요성에 대한 공감대가 형성된 이후 국장급 실무협의를 거쳐 이뤄졌다.

이번 공모는 4자 협의체 역량을 결집해 반드시 대체매립지 후보지를 찾겠다는 의지를 담았으며 이전보다 혜택을 확대하고 시설 규모는 축소하는 등 공모 조건을 마련했다.

먼저 공모시설의 명칭을 ‘자원순환공원’으로 정했다. 폐기물 매립지라는 본연의 기능에 그치지 않고 공원과 같은 주민 친화적인 복합공간으로 조성·운영하기 위해서다. 또한, 주민 편익시설 등 ‘폐기물처리시설 설치 촉진 및 주변지역 등에 관한 법률’에 따른 지원 외에 특별지원금으로 3천억원을 기초지자체에 추가 제공하기로 했다. 기존 1, 2차 공모에서는 2천500억원의 특별지원금을 책정했다.

아울러 부지 면적을 이전 공모와 달리 90만㎡ 이상 확보하도록 축소했으며 부대시설로는 에너지 자립, 폐에너지 활용 등에 필요한 에너지화시설 설치만을 포함하도록 했다.

3차 공모는 4자 협의체의 업무를 위탁받은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가 진행하며 자세한 공모 조건은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 누리집을 통해 확인하면 된다.

수도권 대체매립지의 경우 2026년부터 생활폐기물의 직매립이 금지돼 소각이나 재활용 과정을 거친 협잡물 또는 잔재물만 매립할 수 있어 과거 매립지와는 환경적 영향이 크게 감소할 것이라는 설명이다. 특히 자원순환공원으로 충분한 녹지를 확보하고 지역주민 선호에 따라 다양한 주민편익시설을 설치하는 등 과거 환경오염시설에서 벗어나 지역경제 발전에 기여하는 중요한 기반시설이 될 것이라는 전망이다.

경기도 등 4자 협의체 관계자는 “대체 매립지를 유치하는 경우 3천억원의 재정적 혜택과 함께 순환경제와 연계한 지역발전의 기회가 될 수 있는 만큼 많은 지자체의 관심과 응모를 기대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