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27조 1천억… 3년간 상승곡선

교육서비스 생산은 증가…학원 매출 ↑

수능 킬러문항 배제·의대 증원 등 영향

평균 소득따라 4배 차이… 양극화 심화

고물가·고금리 장기화로 민간 소비 회복이 지연되는 와중에도(3월26일자 12면 보도) 올해 들어 경기지역 사교육비는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 수도 줄어드는 상황이지만 사교육비는 매년 역대 최고치를 기록하고, 소득에 따른 격차도 커지는 실정이다.

반도체가 이끄는 경기도 경제… 소비심리는 위축

한은 경기본부 지역 보고서 3월호올 1분기 제조업·수출 상황 개선고물가·고금리로 회복 속도 주춤반도체를 중심으로 제조업 생산과 수출이 탄력받고 있지만 고물가·고금리 장기화로 민간..

2일 한국은행 경기본부에 따르면 올 1분기 경기도 서비스업 생산은 전 분기 수준을 유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도·소매업 생산은 고금리·고물가 여파로 전 분기 대비 줄었다. 소비 심리 회복이 지연되면서 대형소매점 매출과 가전 자동차 등 내구재(비교적 오래 쓸 수 있는 재화) 판매가 감소했기 때문이다. 실제 지난 1월 경기도 대형소매점 판매액 지수는 지난해 1월 대비 5.5% 줄었고, 지난 1~2월 경기지역 가전 및 자동차 판매점 카드 사용액(NH농협·신한·하나 기준)은 지난해 동기 대비 각각 16.4%, 53.5% 하락했다. 숙박·음식점업 생산도 전 분기 대비 소폭 감소했다. 높은 외식 물가에 따른 외식 수요 감소가 원인이다.

전반적인 민간 소비 위축 상황 속에서도 교육서비스업 생산은 전 분기 대비 소폭 증가했다. 학원업 매출이 증가해서다. 지난 1~2월 경기지역 학원업 카드사용액(신한·하나·NH농협 기준)은 지난해 동기 대비 7.4% 상승했다. 전 분기 증가율(6.3%)보다도 폭이 커진 셈이다.

학원업 매출 상승은 고금리·고물가 상황에서도 식지 않는 사교육 열풍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보인다. 교육부와 통계청이 발표한 ‘2023년 초·중·고 사교육비 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사교육비는 27조1천억원으로 3년 연속 최대치를 경신했다. 이는 2022년(26조여원)보다 4.5% 늘어난 수치다. 초·중·고 학생 수는 2020년 534만명, 2021년 532만명, 2022년 527만명으로 매년 감소세인데 사교육비는 증가하고 있다.

지난해 6월 수능 킬러문항 배제 방침 등이 사교육비 증가세를 키운 원인으로 지목된다. 수능을 5개월 앞둔 시점에 갑작스러운 킬러문항 배제 방침이 발표되면서 수험생과 학부모의 불안을 자극시킨 게 사교육비 지출로 이어졌다는 분석이다. 향후 사교육비는 지난달 의과대학 증원 발표 등으로 더욱 증가할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교육부 관계자는 “일시적으로 나타나는 의대 열풍에 대해서는 다양한 요소들이 있을 수 있다”며 “의대 열풍이 정상적인 교육과정 방식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정부가 지금까지 고민해 왔고 앞으로도 고민해 나갈 영역”이라고 했다.

이런 가운데 부모의 월 평균 소득에 따른 사교육비 지출 규모 차이도 커지고 있다. 가구 월 평균 소득이 800만원 이상일 경우 학생 1인당 월평균 사교육비는 67만1천원, 300만원 미만일 경우 18만3천원을 썼다. 4배 가까이에 달한 것이다. 증가폭도 각각 지난해 대비 3.5%, 3%로 양극화 현상이 심화되고 있다.

경기도 교육비 지출 증가에 대해 한국은행 경기본부 관계자는 “교육비는 가장 경직적인 지표다. 다른 소비는 다 줄여도 교육비는 늦게 줄이는 측면이 있다”며 “교육비 매출이 이번 분기에선 늘어났지만, 추후 높은 교육비 부담 영향으로 (매출도) 줄어들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