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단신도시_아파트_공사현장.jpg
아파트 건설현장. /경인일보DB
 

건설산업이 시장경제에 미치는 파급효과는 실로 막대하다. 각종 사업을 통해 생산 유발 효과를 가져오고 부가가치와 일자리 창출로 이어진다. 건설산업을 움직이는 어느 한 축이라도 삐걱대면 시장 전체가 휘청이는 것도 이 때문이다.

공사비 상승과 부동산 경기 침체로 지역 건설사들이 어려움을 겪고 있다. PF(프로젝트파이낸싱) 시장 경색 등으로 우발채무 위험이 커진 상황에서 공사 미수금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관련 업계에선 우발채무 위험에 공사 미수금 문제까지 겹치면 건설사들의 손실 확대가 불가피해진다.

공사 미수금은 공사를 끝낸 건설사가 발주처나 시행사로부터 받지 못한 돈을 의미한다. 대금을 받지 못하는 기간이 길어질수록 건설사의 현금 흐름에 악영향을 미쳐 재무구조 악화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의하면 국토교통부 시공능력평가 순위 10위권(2023년 기준)인 인천지역의 한 건설사는 지난해 연결 기준 공사 미수금이 2천억원에 육박하며 2022년에 비해 37.6% 증가했다. 30위권인 지역의 다른 건설사도 지난해 1~3분기 공사 미수금이 1천205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배 가까이 늘었다.

미수금이 1년 사이 증가한 것은 착공 시점에 책정했던 공사비가 급격히 늘어난 데 있다. 건설자재비와 인건비 등이 상승하면서 발주처나 시행사가 추가 공사비에 대한 대금을 제때 지급하지 못한 탓이다. 다행히 앞서 예로 든 건설사들은 현금을 충분히 마련해두고 있어서 당장의 재무 부담으로 이어질 상황은 아니라고 한다. 하지만 재무 악화를 이기지 못하고 지난해 하반기부터 올해 초까지 부도를 맞고 회생절차에 돌입한 지역건설사들도 몇 곳 있는 상황이다.

착공을 앞둔 사업장의 비용 상승으로 인해 수익성 개선 시기가 늦어지면서 앞으로도 미수금 부담이 지속될 가능성은 크다. 이에 정부도 나섰다. 최근 정부는 부동산 PF 관련 리스크를 철저히 관리하고 사업성이 충분한 정상 사업장이 금융 리스크에 빠지지 않게 충분한 자금을 공급하겠다고 밝혔다. 한국주택금융공사와 주택도시보증공사의 보증을 현행 25조원에서 30조원으로 늘리겠다는 것이다. 정부의 대응은 환영할 만하다. 건설산업과 연동된 전후방 경제환경의 안정을 위해 확실하게 대응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