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11.jpg
조경욱 인천본사 정치부 기자
제22대 총선이 코앞이다. 5~6일 치러질 사전투표와 10일 본투표까지 끝나면 국민들의 투표권 행사가 마무리된다. 인천의 주민등록 인구는 올해 300만명을 넘어섰다. 이번 총선부터 인천지역 국회의원 의석수도 14석으로 한 석 늘었다. 1981년 인천시가 경기도에서 분할된 이후 치러진 첫 총선인 지난 12대 총선 당시 인천 의석수가 4석이었던 것과 비교하면 격세지감이 느껴진다. 인천의 국회의원 숫자가 많아진다는 것은 그만큼 인천의 목소리가 커진다는 의미다. 당대표를 비롯한 차기 대권주자로 거론되는 정치인까지 인천에 둥지를 틀면서 인천의 정치적 위상은 그 어느 때보다 높아졌다.

정치적 영향력은 높아졌는데, 인천 투표율은 하위권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지난 21대 총선에서 인천은 63.2%의 투표율을 보였다. 전국 평균 투표율 66.2%와 비교해 3%p 낮다. 인천보다 투표율이 낮은 곳은 제주(62.9%)와 충남(62.4%)뿐이다. 지난 20대 총선에서도 인천의 투표율은 뒤에서 네번째를 기록했고, 19대 총선에서는 전국 '꼴찌'였다. 지방선거, 대통령선거 모두 인천은 늘 투표율 하위권 도시였다.

인천은 왜 투표율이 낮을까. 인천시민 상당수는 업(業)을 타지에서 갖는다. 2022년 통계를 보면 인천서 서울로 출퇴근하는 청년이 6만8천여명으로 서울에서 인천으로 출퇴근하는 청년 5천800명보다 무려 11배 이상 많다. 일자리가 없으니 수도권으로 함께 묶이는 서울·경기에 비해 대중 관심도가 적다. 자연스레 인천의 정치적 이슈는 묻혀왔다. 또 표심의 '바로미터'로 불릴 만큼 전국 각지 출신들이 고르게 분포해 지역색이 엷다. 인천 출신의 대표 정치인이 없는 것도 시민들에게 정치 무관심을 불러일으킨 이유 중 하나다.

인천의 대표 정치인은 시민 손으로 만들어야 한다. 인천의 이슈를 키우고, 현안을 풀어갈 수 있도록 우리가 투표로 응답해야 한다. 그래야 인천에 진심인 정치인들이 커나가고 지역이 발전한다. 먹고사는 게 바쁘다는 핑계로 투표를 미루기보다는, 인천에서 먹고사는 게 나아질 수 있도록 인천시민들의 '한 표'가 필요한 때다.

/조경욱 인천본사 정치부 기자 imjay@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