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민주.jpg
구민주 문화체육부 기자
2011년에 개관한 경기도어린이박물관은 국내 최초이자 최대 규모로 만들어졌다. 이후에 생긴 어린이박물관들은 경기도의 모델을 접하게 됐고, 지금도 벤치마킹을 하기 위해 여러 나라와 기관에서 찾고 있는 곳이기도 하다.

아이들이 놀 만한 곳이 적당치 않아 늘 고민인 부모들에게 어린이박물관은 너무나도 좋은 장소이다. 아이들의 눈높이에 맞춘 체험과 전시, 마음껏 뛰어놀 수 있는 공간, 교육 프로그램 등이 모두 갖춰져 있으니 말이다. 아이가 있는 회사 동료들도 어린이박물관은 한 번 이상은 들르는 필수 코스라고 했다. 박물관이라는 이름이 붙여져 있지만 이곳은 어린이들의 목소리만으로도 활기차고 생기가 넘치는 곳이다.

이러한 어린이박물관의 상설 전시실이 개관 이후 한 번도 바뀐 적 없다는 사실은 적잖은 놀라움과 충격을 줬다. 한 어린이가 다 자라 청년이 될 때까지 같은 콘텐츠를 유지하고 있었던 셈이다. 유지와 보수에 애를 썼지만, 세월의 흐름이 가져다주는 그 특유의 오래된 느낌은 지워낼 수 없었다. 하루가 다르게 변하는 세상에서 여전히 10여 년 전에 머물러 있는 상설 전시실을 보며 안타까움이 절로 느껴졌다.

상설 전시실의 개편은 다른 기관과 비교해봐도 확연한 차이를 보인다. 국립민속박물관 어린이박물관의 경우 상설 전시실 개편주기가 2년, 국립중앙박물관 어린이박물관은 1~2년이다. 서울상상나라는 매년 1개의 상설전시실을 전면 개편하고 있다. 국내 최초, 최대 어린이박물관을 가진 경기도의 타이틀이 어쩐지 부끄러워진다.

왜 어린이들을 위한 박물관에 이 같은 정체가 이어졌을까. 정책의 우선 순위에서 문화예술이 계속해서 밀려나듯 어린이 또한 정치적으로 관심의 대상이 아니었기 때문일 것이다. 무언가에 투자를 한다는 것은 그만큼의 관심과 애정이 바탕이 돼야 하므로. 한 명의 아이가 소중한 오늘날의 사회에서 이러한 무관심은 '아이를 낳자'는 구호를 무색하게 만든다.

어린이날이 얼마 남지 않았다. 경기지역 어린이들이 즐기고 누릴 수 있는 문화 기반을 만들어 주기 위한 경기도의 관심과 애정이 어디까지 와 있는지 한 번쯤 생각해 볼 일이다.

/구민주 문화체육부 기자 kumj@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