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희 경기도의원/경인일보DB
김동희 경기도의원/경인일보DB

시행 2년 차를 맞은 경기도 교통약자 광역이동서비스의 이용 개선을 위해 경기도가 인력과 예산을 확대해야 한다는 지적이 경기도의회에서 제기됐다.

경기도의회 건설교통위원회 소속 김동희(민·부천6) 의원은 26일 제374회 임시회 본회의 5분 발언을 통해 “지난해 경기도 교통약자 광역이동서비스가 시행됐고 올해 7월부터 전 시군에 관내외 전면 배차를 시행할 예정이지만, 장애인의 생활양식을 고려하지 않은 운영으로 인해 이용불편이 이어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김 의원은 “먼저 특별교통수단의 배차시간 지연 문제다. 배차시간 지연은 비효율적 운영과 운전원 부족이 대표적인 원인”이라며 “배차시간의 단축을 위해서는 운영방법의 개선도 시급하다. 목적지가 같은 경우 합승을 허가하거나 차고지에서 출발하는 차량보다 이용자 주변에 있는 차량을 우선 배차하고, 회차 차량의 경로와 목적지 주변 지역까지 배차접수를 받아 공차율을 줄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특별교통수단 유료도로 통행료도 이용자가 납부하고 있다. 장애인 차량 등은 관련법상 통행료 감면 대상에 포함되지만, 특별교통수단은 감면 대상으로 정해지지 않아 장애인 이용자가 통행료를 납부하고 있는 실정”이라며 “도는 지난달 표준지침을 발표해 특별교통수단의 유료도로 통행료 지원 근거를 마련했다. 유료도로 통행료 지원의 적극적인 검토를 요구한다”고 했다.

김 의원은 “시군의 과도한 운영비 부담도 문제다. 현재 경기도의 분담률인 30%를 50%까지 개선해 주기를 촉구한다”며 “장애인이 자유롭게 사회로 진입할 수 있도록 특별교통수단 이용 불편 개선에 대해 적극적인 관심을 당부한다”고 힘줘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