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당·일산 최소 2곳 이상 선정될듯
이주단지 입지 규모도 지속 검토


4124.jpg
1기 신도시 재건축 선도지구 지정이 예상되는 성남 분당 시가지. /경인일보DB

 

30만 가구에 육박해 경기도 최대 이슈 중 하나인 1기 신도시 재건축·재개발이 선도지구 지정에 본격 시동(4월26일자 2면보도=국토부, 1기 신도시별 선도지구 최대 6개 지정)을 걸며 추진 규모와 방식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선도지구와 동시에 '이주단지'까지 윤곽이 잡히며 분당과 일산 등 도내 1기 신도시 지역에 대규모 개발이 전망되면서다.

29일 국토교통부 등에 따르면 1기 신도시별로 재건축 선도지구를 지정함과 동시에 공공택지를 활용한 이주단지도 조성한다.

선도지구 지정은 성남 분당, 고양 일산, 안양 평촌, 군포 산본, 부천 중동 등 5개 1기 신도시 지역을 대상으로 하며 다음 달 지정 기준을 발표하고, 6월부터 본격적인 공모를 시작한다. 규모는 각 1기 신도시별로 총주택 수(총 29만2천549가구)의 5∼10%를 선정할 계획이다.

선도지구는 각 지역의 가구 수가 고려되며 분당(9만7천600가구)과 일산(6만3천가구)의 지정 규모가 최소 2곳 이상으로 가장 많을 전망이다.

이에 경기도는 이미 '노후계획도시 정비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노후계획도시특별법) 시행 이전부터 진행해 온 국토부와 5개 시군과의 협의를 지속, 강화하겠다는 계획이다. 재건축 추진에 한목소리를 내온 도의회에서도 관련 조례를 추진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노후계획도시특별법은 지난 27일부터 시행됐다.

이주단지 조성 계획은 한 번에 최대 3만 가구에 가까운 재건축 단지가 조성됨에 따라 발생하는 전세시장의 불안을 막기 위해 추진된다. 공공임대주택 등을 각 지역의 1기 신도시 내에 유휴부지와 공공택지에 짓겠다는 구상이다.

구체적 이주단지의 입지는 공개되지 않았지만, 지자체장과 국토부의 협의에 따라 조성되는 만큼 도에서도 규모 등을 지속 검토 중이다.

도 관계자는 "매주 국토부와 경기도, 5개 시의 실무자들이 만나며 회의와 시뮬레이션을 지속하고 있다. 5~10%의 선도지구의 규모를 정확히 아직 파악할 수 없지만, 사업을 추진했을 때 연차별로 물량을 얼마만큼 해야 할지 공유 중"이라며 "최소 지역별 1개 이상의 선도지구를 가져갈 것으로 예상되고, 이주단지도 도시별로 조성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고건기자 gogosing@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