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태평양 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가 2025년 10~11월 한국에서 열린다. 1989년 호주 캔버라에서 출범한 APEC 정상회의 한국 개최는 지난 2015년 11월 부산에 이어 두 번째다. 외교부는 APEC 정상회의 개최도시 유치 신청서 접수를 마감하고 서면 심사를 벌이고 있다. 이번 개최도시 공모에 인천을 비롯해 경북 경주, 제주가 도전장을 냈다. 강력한 후보 도시였던 부산이 공모 서류 마감 직전에 유치 의사를 접으면서 3파전 양상으로 도시 간 경쟁이 진행 중이다.
APEC 목표는 아시아태평양 지역 경제 성장과 번영이다. APEC은 3대 핵심요소로 무역 투자, 혁신·디지털 경제, 포용적·지속가능한 성장을 추구한다. '무역' '혁신' '성장'이라는 핵심어로 볼 때 인천은 다른 경쟁도시보다 앞서 있다는 대내외적 평가를 받는다. 외교부가 밝힌 APEC 정상회의 개최도시 평가 기준으로 봐도 인천의 적합도는 타 경쟁도시에 뒤지지 않는다. 특히 인천국제공항과 행사장(송도컨벤시아), 숙소(5성급 호텔)를 30분 내에 이동할 수 있는 접근성은 국내 그 어떤 도시도 갖추지 못한 경쟁력이다.
APEC 정상회의 유치를 기대하는 인천시민 공감대는 이미 확산돼 있다. 2025 APEC 정상회의 인천 유치 범시민유치위원회 발족(2022년 12월), 110만 서명 달성(2023년 5~8월), 인천시의회 APEC 정상회의 유치 특별위원회 구성(2023년 12월) 등을 통해 인천의 각계 인사들이 뜻을 모았다. APEC 21개 회원국은 세계 인구의 40%, 교역량의 절반가량을 차지한다. 세계 최대 규모 지역협력체 교류의 장이 인천에서 열리게 된다면 인천은 도시 브랜드 가치를 한 단계 상승시킬 수 있는 기회를 얻게 된다.
인천 일각에서는 APEC 정상회의 개최도시 선정 과정에 '수도권 배제론'이 나올 것을 우려한다. 인천은 수도권 변방도시이면서도 수도권 규제에 묶여 있어 투자 유치, 공장 신·증설, 개발제한구역 조정 등 여러 분야에서 어려움을 겪는다. '정치 네트워킹 부재'도 인천이 풀어야 할 과제다. 인천에는 국회의원 13명(21대 기준)이 있지만 '지역 숙원사업 해결'을 위해 한목소리를 낸 사례가 극히 드물다. 그래서 '인천 의원 10명이 타지역 의원 1명을 못 이긴다'는 말이 있을 정도다. 이번 APEC 정상회의 개최도시 공모가 그런 우려를 불식시키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