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세계 풍력 발전 용량의 70%를 담당하는 기업·개발자 등으로 구성된 세계풍력에너지위원회(The Global Wind Energy Council·GWEC)가 한국에서 ‘해상풍력 발전사업 클러스터’ 형성 가능성이 큰 지역으로 인천을 꼽았다.

GWEC는 최근 발표한 ‘해상풍력 발전을 통한 연안지역재생 방안, 대한민국을 위한 주요국 현황과 모범 사례’라는 보고서에서 국내 해상풍력 우수 입지로 인천과 군산 두 곳을 지목했다. GWEC는 전 세계 풍력발전 터빈 제조업체, 에너지 회사, 개발자, 기술 제공 업체 등 1천500개 이상 회원사를 둔 글로벌 협회다.

GWEC가 주목한 인천의 장점은 ▲현재 진행 중인 다양한 해상풍력 프로젝트 및 항만시설 ▲해상풍력에 활용 가능한 제조·물류 산업 생태계 ▲인천시의 강력한 의지 ▲해상풍력 개발업체 밀집 가능성 ▲제조업 쇠퇴에 따른 신산업 필요성 등이다.

인천 앞바다에서는 오스테드(1천600㎿)·한국남동발전(640㎿)·굴업풍력개발(240㎿) 등이 발전사업 허가를 얻어 해상풍력 발전사업을 본격화하고 있다. 인천시도 자체적으로 공공 주도형 해상풍력단지(1천200㎿)를 발굴했다. 그 외 독일 민간발전사 RWE(1천500㎿ 이상)를 비롯한 다수 업체가 인천에서 해상풍력 발전사업을 계획하고 있다. 2030년께에는 총 31조원 투자로 6.2GW(6천200㎿) 규모의 국내 최대 해상풍력단지가 인천 앞바다에 들어설 전망이다.

특히 오스테드는 최근 인하대학교와 업무협약을 맺는 등 사업에 속도를 내고 있다. 이들은 지역협의체 지원기관 운영 및 해상풍력 전문인력 양성, 지역사회 동반성장 프로그램 개발 등을 함께하기로 했다.

GWEC는 인천의 해상풍력 발전사업 클러스터 조성을 위해 해결할 과제로 기반시설(인프라) 확보를 꼽았다. 인천 앞바다 조수 간만의 차가 8~10m에 달하는 만큼 해상풍력 서비스를 위한 선박 이동에서 고려할 사항이 많다는 것이다. 향후 해상풍력 관련 선박 교통량이 늘어날 때 갑문이 있는 인천의 항만이 단점으로 작용할 수 있는 점도 지적했다. 또 물동량이 많은 인천 연안과 국내 최대 꽃게 어장에 따른 수용성 문제, 접경지역 특성상 군사활동 해상이 많아 사업지가 제한된다는 점 등이 걸림돌로 작용할 것으로 봤다.

GWEC는 국내 해상풍력 발전사업 활성화를 위해 지방정부와 중앙정부가 역할을 나눠 정책을 추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인천시 등 지방정부는 민간 주도 해상풍력 발전사업에서 시민이 참여 가능한 비전을 수립하고 지역 연구기관 및 교육 기관과 협력해 인력 양성이 가능한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고 했다. 중앙정부는 해외 기업의 투자 기회가 확대되도록 경제자유구역을 늘리고 해상풍력 관련 항만과 계통시설에 대한 장기 계획을 마련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인천에서 해상풍력 사업을 추진하는 민간 기업은 해상풍력 클러스터 조성이 인천경제 활성화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했다. 오스테드코리아 박정민 대표이사는 “최근 국내외 업체가 인천의 지리적 이점을 이용해 투자를 늘리는 움직임이 활발해지고 있어 재생에너지를 이용한 전력 수요 역시 크게 증가할 것”이라며 “풍부한 풍력 자원, 높은 전력 수요, 안정적인 인프라를 바탕으로 인천이 대규모 해상풍력 메카로 거듭나면 일자리 등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