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비핵화 등 현안 의제서 제외
한일중 정상회의가 4년5개월만에 재개돼 26일부터 27일까지 이틀간 서울에서 열린다.
윤석열 대통령은 첫날인 26일 용산 대통령실에서 리창(李强) 중국 총리, 기시다 후미오(岸田文雄) 일본 총리와 각각 양자 회담을 했다.

윤석열 대통령은 리창 총리와 회담에서 '글로벌 복합위기 속 양국 간 협력'을 강조했고, 리 총리는 '양국관계 지속발전'을 당부했다.
윤 대통령과 리 총리는 이를 위해 "어떠한 대내외 환경에서도 긴밀한 소통을 지속해 나가는 것이 중요하다"는 데 공감해, 양국 간 외교안보분야 소통 채널을 신설 또는 재개해 나가기로 했다.
경제통상과 관련해서는 2011년 이후 중단된 '한중 투자협력위원회'를 재개하기로 했다. FTA 수석대표회의도 다음달 초 개최한다.
또 원자재와 핵심광물의 수급 등 안정적 공급망 관리를 위해, '한중 공급망 협력·조정협의체' 개최, '한중 공급망 핫라인' 수시가동, '한중 수출통제 대화체' 출범 등을 하반기에 진행하기로 했다.

윤 대통령은 기시다 총리와 50여분간 대화를 나누며 양국의 신뢰를 재확인했다.
두 정상은 경제협력 증대를 평가했고, 공급망 분야 협력을 강화하기로 했다.
윤 대통령은 '일한 미래파트너십 기금'에 일본 기업들의 추가 기여를 평가했다. 이에 양국은 유학·인턴십·취업 등 청년층 교류 확대 방안을 모색해나가기로 했다. 양국은 대북문제, 지역·글로벌 현안 등 안보문제에도 대화를 나눠, 한일·한미일 간 공조를 강화하기로 했다.
양국을 각각 만났던 윤 대통령은 두 정상과 만찬을 주재했다.
윤 대통령은 27일 3국 정상회의에서 인적교류, 기후변화, 경제통상, 고령화 대응, 과학기술, 재난·안전 등의 분야에서 협력방안을 논의해 공동선언을 도출할 계획이다.
그러나 한일중 정상회의가 4년5개월만에 복원된만큼 북한 비핵화와 같은 민감한 현안은 공식 의제에서 제외됐다.
/정의종기자 jej@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