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TA 성격에 '투자분야 추가'
양국 10년간 92.5·91.2% 시장개방
대형전기차·의약품 등 관세 철폐
AI 등 첨단분야 파트너십 확장도
무함마드 대통령, MB 방문 '눈길'

윤석열 대통령은 29일 국빈 방한한 무함마드 빈 자예드 알 나흐얀 UAE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열어 포괄적 경제동반자협정(CEPA)을 체결하는 성과를 냈다. 우리나라가 체결한 24번째 자유무역협정이자 아랍권 국가와는 최초의 자유무역협정이라고 대통령실은 밝혔다.
국빈 일정을 마치고 무함마드 대통령이 이명박 전 대통령의 논현동 자택을 찾아 접견하는 일정도 소화해 눈길을 끌었다.
박춘섭 대통령실 경제수석은 이날 브리핑에서 "FTA는 상품·서비스·교역 자유화에 중점을 두고 있는데 CEPA는 여기에 투자 분야가 추가되는 성격"이라고 설명했다. 한-UAE 간 CEPA가 발효되면 양국은 향후 10년에 걸쳐 상품 품목 수 기준 각각 92.5%, 91.2%의 시장을 상호 개방하게 된다.
아울러 무기류와 10인 이상 대형 전기차·의료기기·의약품·화장품 등의 관세가 즉시 철폐되며, 기계류의 상당수는 5년 내, 자동차 및 부품, 가전제품 등도 최장 10년 내 관세가 철폐된다. 또 인삼류·조미김·멸치·전복 등 우리 주요 농산물도 관세 철폐 혜택을 보게 된다.
이번 정상회담을 계기로 아부다비국영석유공사(ADNOC)와 우리 기업 간 6척, 15억달러 규모의 'LNG운반선 건조의향서'도 체결됐다. 아울러, UAE가 다른 나라에 개방하지 않은 온라인 게임 서비스 분야를 우리나라에 최초로 개방했다고 박 수석은 소개했다.
윤 대통령은 또 이날 정상회담에서 무함마드 대통령으로부터 UAE 측의 300억달러 투자 약속을 재확인했다.
두 정상은 원자력 분야 협력과 관련, 바라카 원전 사업이 성공적으로 이행되고 있는 것을 높이 평가하고, 후속 원전 건설, 원자력 연료 공급망, 소형모듈원전(SMR) 등 원전 분야 협력을 확대하기로 했다. 국방 분야에서도 한국 무기체계의 지속적인 수출 확대 등 방산 파트너십을 더욱 심화하자는 데 의견을 같이했다.
아울러 양 정상은 협력 범주를 AI를 비롯한 첨단 분야로 확장해 나가기로 하고, AI 기업 협력 파트너십과 AI 공동연구를 비롯해 AI 분야 협력 방안을 더욱 구체화해 나가기로 했다. 정상회담 종료 후 양 정상은 포괄적 경제동반자협정을 비롯한 19건의 협정·MOU·의향서 서명식에 임석했다.
한편 이명박 전 대통령 자택을 찾은 무함마드 대통령은 서로 16년간 쌓은 '우정'을 놓고 덕담을 나누는 모습이 화제에 올랐다.
/정의종기자 jej@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