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21일까지 선출위한 절차돌입
경기 김선교·김은혜 유력속 '고사'
대표선출 '민심 20~30% 반영' 팽팽
국민의힘의 차기 대표 선출을 위한 전당대회가 오는 7월 하순 개최 가능성이 높은 가운데 전당대회에 앞서 경기·인천 지역 시도당위원장도 새로 선출할 예정이다. 4·10총선 참패 후 전열을 다시 정비할 수 있는 계기가 될 전망이다.
9일 당 관계자에 따르면 "당헌·당규에 따르면 전당대회가 있는 기간에는 전당대회 이전에 시도당위원장을 새로 선출해야 하는 규정이 있어 시도당위원장을 다시 뽑아야 한다"고 말했다.
국민의힘 중앙당은 가급적 6월21일까지 새 위원장을 선출하라고 지침을 지난주 내렸다. 따라서 경기 인천 등 각 시도당은 오는 21일까지 새 위원장 선출을 위한 절차를 밟고 있다.
경기도당은 10일 수원시 모처에서 송석준 현 도당위원장 주재로 4·10총선 후보자 오찬 모임을 갖고 후임 도당위원장 선출에 대한 의견을 들을 예정이다.
송석준 위원장의 후임에는 재선인 김선교(여주양평)·김은혜(성남분당을) 의원이 유력하게 거론되지만, 22대 국회 초반에 할 일이 많다는 이유로 일단 고사한 것으로 전해졌다.
시도당위원장은 선출은 곧바로(7월) 이어질 당 대표 경선에도 적잖은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런 가운데 당 지도부는 차기 당 대표 선출을 위한 방식과 지도체제 변경 여부 등 굵직한 현안에 대해 가닥을 잡아가고 있다.
우선 대표 선출 방식에 대해선 바꾸기로 사실상 결론을 내렸다. 당원 투표 100%만으로 대표를 선출하는 현행 규정을 고쳐 '민심'(일반 국민 여론조사)을 일정 비율 반영해야 한다는 데 의견을 모은 것이다. 다만, 국민 여론조사 반영 비율을 두고 20%와 30% 사이에서 의견이 팽팽하게 엇갈려 당 지도부의 결정이 주목된다.
현행 단일지도체제와 집단체제 또는 절충형 2인체제로 바꿀지도 핵심 이슈이다.
단일체제는 당대표와 최고위원단을 분리 선출하는 것이고, 집단체제는 단일 경선에서 최다 득표자가 대표최고위원, 차순위 득표자들이 최고위원이 되는 방식이다. 2인체제는 1위를 당 대표, 2위를 수석 최고위원으로 각각 선출하는 방안이다.
대표 선출 방식, 지도체제 논의가 조만간 매듭을 지을 것으로 보이는 가운데 한동훈 전 비대위원장, 안철수·나경원·윤상현·김태호 의원과 원희룡 전 국토교통부 장관 등 잠재적 당·대권 주자들의 거취에 비상한 관심이 쏠리고 있다.
/정의종기자 jej@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