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출범 협치위 반년넘게 방치

핵심쟁점사안 내부 조율 부진
정무관계 인적쇄신 미흡 평가


ㄴㅇㅁㅇㄴㅁ.jpg
경기도와 의회간 협치를 위한 여야정협치위를 출범했지만, 공식적인 회의는 단 한차례도 없었다. 사진은 지난해 열린 여야정협치위 협약식 모습. /경인일보DB


경기도와 경기도의회가 정책과 감사, 인사 등 민감한 사안들을 두고 충돌을 반복하고 있다.

협치를 강조한다던 말이 무색하게 최근 입장차가 발생할 때마다 평행선을 달리며 갈등이 고조되고 있는 상황이다. 특히 지난해 재출범한 여야정협치위원회도 반년 넘게 '개점휴업' 상태로 방치 중이다.

11일 경기도의회에 따르면 지난해 9월 도와 도의회의 소통을 강화하겠다며 만든 '여야정협치위원회'(협치위)가 출범 후 공식적인 회의를 한 번도 개최하지 않은 것으로 파악됐다.

협치위는 도정 핵심 현안·쟁점 등을 도와 도의회 여야가 사전협의, 조율하자는 취지로 양당 대표의원을 포함한 22명 위원으로 구성했다. 2022년 꾸려진 여야정협의체 기능을 강화하겠다며 재출범해 의장과 도지사가 참석하는 정례회도 분기별 1회 열겠다고 약속했지만, 제대로 된 실무 협의조차 진행되지 못한 셈이다. 이같은 분위기는 결국 최근 도와 도의회 간 입장차가 봉합되지 않고 반복적인 갈등으로 번졌다.

조례 추진 과정에서 도와 도의회의 파열음이 수시로 외부 유출됨은 물론, 핵심 쟁점사안에 대한 내부 조율도 이뤄지지 않고 있다. '도지사 비서실에 대한 행감'이 도의회의 혁신안 중 대표적이다.

2024061201000109300011101

경기도 역시 도의회가 인력 대비 높은 업무 부담으로 요청한 의회사무처 4급 담당관 2개 신설에 대해 운영지원담당관 1개만 반영했다.

이같은 협치 실종으로 경기도가 먼저 나서 정무관계를 쇄신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왔다. 이에 김동연 지사가 기존 정무수석에서 명칭이 변경된 협치수석을 신설했지만, 자리 이름만 바뀌었을뿐 김달수 수석이 이 자리를 그대로 이어받으면서 인적 쇄신은 이뤄지지 못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도의회 관계자는 "도와 도의회의 갈등이 최근에 강하게 표출되고 있지만, 어느 순간부터 서로에게 유리한 현안만 주장하기 시작했다"며 "임기 초에는 협치관련 조직들로 대화하려는 시도가 있었지만, 소통이 점점 단절되다 보니 각자 원하는 현안을 해결하기 위한 협상 위주로 마주 앉게 됐다"고 말했다.

/고건기자 gogosing@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