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5년 예정… 2027년까지 5조 투입
정부가 콘텐츠 생산과 유통, 소비가 한곳에서 이뤄지는 'K-콘텐츠 복합문화단지'를 2035년 조성한다.
조성지는 공모를 통해 결정할 가능성이 높은데, 대규모 투자가 이뤄지는 만큼 일선 지자체들의 치열한 경쟁이 예상된다. 경기·인천 등 수도권 지역의 경우 지리와 산업적으로 K-콘텐츠에 강점을 보이는 지역들이 많아, 지자체들이 대거 도전장을 낼 것으로 예상된다.
정부는 18일 경기도 성남시 LH기업성장센터에서 한덕수 국무총리 주재로 '제8차 콘텐츠산업진흥위원회'를 열어 이 같은 내용을 담은 'K-콘텐츠 글로벌 4대 강국 도약전략'을 발표했다.
정부는 ▲K-콘텐츠 국가전략산업 육성 ▲콘텐츠 기업 성장 통한 일자리 창출 ▲해외 진출 넘어 글로벌 주류 문화 도약 ▲주요 장르 집중 지원 통한 경제적 가치 창출 등 4대 전략을 추진해 2027년까지 K-콘텐츠 매출액 200조원, 수출액 250억 달러를 달성한다는 목표다.
이중 핵심 내용은 K-콘텐츠 복합문화단지를 2035년까지 조성해 랜드마크로 육성한다는 것이다. 복합단지에는 콘텐츠 아카데미와 체험학교, 창작·창업센터, 영상제작 타운, 직주락(職住樂) 지구 등이 집결한다.
정부는 조성 지역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자 "어떤 방식으로 공모할지 의견 수렴을 통해 추후 결정할 것"이라는 입장을 냈다.
지역 간 경쟁 과열을 우려해 내년 실시계획이 나온 이후 선정하는 방안을 검토하는 것이다. 정부는 또한 콘텐츠 기업의 자금난 해소와 글로벌 콘텐츠 발굴을 위해 2027년까지 총 5조원대 정책금융을 공급한다. 해외 촬영을 국내에 유치하기 위해 해외 제작사가 우리나라에서 지출한 제작비의 20~30%를 환급하는 인바운드 촬영 인센티브 제도 도입도 검토한다.
/김태성기자 mrkim@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