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령인구, 농촌지역에서 온열질환 발생 잦아
취약계층 선별 필요성 강조
경기도 온열질환자가 최근 3년(2020년~2022년) 동안 연평균 24.9% 증가해 전국 연평균(8.4%)보다 높은 증가율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폭염은 노령인구나 실외 작업이 많은 농촌지역에서 큰 피해를 발생시킬 수 있기 때문에 온열질환 취약계층 및 지역적 분포를 고려한 지원정책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나왔다.
경기연구원은 이러한 내용을 담은 ‘폭염 속 숨겨진 이웃을 보호합시다’ 보고서를 발간했다고 25일 밝혔다.
보고서 내용을 보면, 지난해 온열질환으로 사망한 총 32명 중 80세 이상이 50.0%를 차지하며, 실외에서 발생한 환자가 81.3%에 달한다.
온열질환 발생 장소로는 실외가 2천243명(79.6%)로, 실내 575명(20.4%) 보다 3.9배 많았다.
노령인구가 많이 거주하고, 실외 작업이 잦은 농촌지역의 온열질환 발생도 1.8%로 전국 평균(0.9%) 보다 2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온열질환을 겪어도 치료를 받지 않는 농업인이 많으며, 농업인 76%는 무더위 쉼터를 방문하지 않는 것으로 파악됐다. 이는 이미 집에 냉방시설이 있거나, 무더위 쉼터가 집에서 너무 멀거나, 폭염 시 야외 이동이 어려운 연령이기 때문이라는 설명이다.
또한, 고용노동부나 질병관리청 등 중앙정부에서 설정한 취약지역·취약계층은 민원 및 이슈발생 지역과 업종을 선정한 선언적 정보이기 때문에 지방정부의 세부적인 정책에서 활용하긴 어려운 실정이다.
도내 10개 지자체에서는 폭염피해 예방관련 조례를 만들었지만 정확하게 취약계층·취약지역을 설정하지 않고 저감시설·쉼터 운영·취약계층 지원사업 등이 진행되고 있어 효율성이 낮은 것으로 판단된다.
상황이 이렇자, 경기연구원은 도의 ‘핀셋정책’ 필요성을 강조했다. 해외 국가 사례처럼, 세부 공간별 열쾌적성 평가 정보를 기반으로 인구・사회・경제적 데이터를 분석해 폭염 대응 취약지역을 설정해야 한다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열환경 취약지역 공간정보 기반한 대응사업, 폭염 대응의 실질적 주체인 기초지자체의 정책 실효성 강화, 도시의 열쾌적성 확보를 위한 공간구조 개선사업, 경기도 취약계층 통합 데이터베이스 구축 및 경기도 담당 조직 구성을 제시했다.
이에 도는 도내 전역의 취약지역과 인구구조 정보를 파악하고 있으며 폭염 대응 정책에 활용할 정보를 제공할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