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삼성전자 내 최대 노조인 전국삼성전자노동조합(이하 전삼노)이 총파업을 예고했다. 창사 55년 만의 첫 총파업 돌입으로, 그 여파와 사측의 대응에 귀추가 주목된다.
전삼노는 지난 1일 “3차 사후 조정에서 나온 사측 제시안은 노조 모두를 분노케 했고, 평화적인 쟁의 행위는 무의미하다”며 오는 8~10일 사흘 간 무임금·무노동 방식의 총파업에 들어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노사는 중앙노동위원회가 중재하는 사후조정회의를 세 차례에 걸쳐 진행했다. 지난달 3차 조정회의에서 조정안이 나왔지만 노조는 이를 거부했다. 전삼노는 지난 1일 전영현 디바이스솔루션(DS)부문장(부회장)과 간담회를 통해 전체 직원에 대한 휴가 1일과 연봉 협상에 서명하지 않은 조합원에 대한 정당한 보상 등을 요구했지만 거절당하자 총파업을 선택한 것이다.
전삼노가 요구하는 주요 방안 중 하나는 성과급 산정 기준의 개선이다. 초과이익성과급(OPI)을 계산하는 경제적 부가가치(EVA) 방식에 성패를 알 수 없는 사측의 투자 요소가 포함돼 직원들의 성과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는 주장이다. 성과급 지급 기준을 영업이익으로 개선해 직원들이 정당한 보상을 받아야 한다는 것이다.
전삼노 조합원 대부분은 삼성전자에서 반도체를 담당하는 DS부문의 직원들 중심으로 구성돼 총파업 시 반도체 생산에 차질이 생길 수 있지 않겠느냐는 우려도 나온다. 특히 조합원 2만8천여명 중 과반이 넘는 1만4천여명 이상이 화성·평택·용인·수원사업장에서 일하는 것으로 파악돼 총파업 시 도내 삼성전자 반도체 사업장에 영향이 불가피할 걸로 예상된다.
다만 총파업에 참여할 조합원 규모는 미지수다. 전삼노는 조합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해 8일부터 시작하는 총파업 참여 규모를 파악하고 있다. 일각에서는 지난달 전삼노의 연가 투쟁 당시를 감안하면 총파업에 참여하는 조합원의 수가 많지 않을 거란 예상도 나온다.
노조는 총파업이 시작되는 8일까지 사측과의 협상 계획은 없다고 밝히며, 3일 간의 총파업 이후 사측의 움직임에 따라 추가 파업에 돌입할 수 있는 가능성도 내비쳤다. 이태윤 전삼노 사무국장은 “처음 하는 파업이기에 반도체 생산에 어떤 영향을 미칠 지 알 수 없다”며 “사측이 충분히 받을 수 있는 안을 받지 않았기 때문에 총파업에 돌입해 요구사항을 쟁취하겠다”고 말했다.
이에 삼성전자 DS부문 관계자는 “노조에 관한 회사의 공식 입장은 없다”면서 “반도체 생산라인은 자동화 설비가 마련돼 있어 반도체 생산에는 큰 영향을 주지 않을 것으로 보이고, 향후 상황을 지켜봐야 할 것 같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