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나경원, 원희룡, 윤상현, 한동훈 등 국민의힘 당권 주자들은 4일 ‘김건희 여사 문자 공개’, ‘총선 참패 책임론’을 놓고 난타전을 벌였다. 시간이 지날수록 각 후보 간 신경전도 더 날카로워지고 있다.
특히 당권 주자인 한동훈 후보가 22대 총선을 이끌 당시 김건희 여사가 보낸 문자를 ‘읽씹’(읽고 씹음)했다는 의혹이 제기돼 논란이 확산됐다.
‘명품백 수수 의혹’ 등으로 논란의 중심에 섰던 김 여사가 “당에서 필요하다면 대국민 사과를 포함해 어떤 처분도 받아들이겠다”며 사과의 장을 마련해달라는 취지로 문자를 보냈지만, 한 후보가 이를 무시했다는 게 의혹이 그 골자다.
보도에 따르면 당시 김 여사는 한 전 위원장에게 “최근 저의 문제로 물의를 일으켜 부담을 드려 송구하다. 몇 번이나 국민들께 사과를 하려고 했지만 대통령 후보 시절 사과를 했다가 오히려 지지율이 떨어진 기억이 있어 망설였다”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당에서 필요하다면 대국민 사과를 포함해 어떤 처분도 받아들이겠다”는 취지의 텔레그램 메시지를 보냈다.
이어 “사과를 하라면 하고 더한 것도 요청하시면 따르겠다”며 “한 위원장님의 뜻대로 따르겠으니 검토해주시기 바란다”고 덧붙였다고 한다.
이에 대해 원·나 후보는 직접 한 후보의 판단미스를 제기하며 공세에 나섰다.
나 후보는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김건희 여사와 한동훈 후보자 간의 연락 문제가 논란이 되고 있다고 언급하면서 “한 후보의 판단력이 미숙했다. 경험 부족이 가져온 오판이었다”며 “어떻게든 최선을 다해 돌파구를 찾았어야 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한 후보는 지금이라도 당원과 국민, 그리고 우리 당 총선후보자 전원에게 사과해야 한다”고 압박했다.
원 후보도 김 여사 문자 ‘읽씹’ 관련 기자들의 질문에 “총선 기간 중 가장 민감했던 이슈 중 하나에 대해 당과 한동훈 비대위원장이 요구하는 걸 다 하겠다는 영부인의 문자에 어떻게 답도 안 할 수 있습니까”며 “공적·사적 따지기 전에 인간적으로 예의가 아니다”고 비판에 가세했다. 그러면서 “한 위원장이 그때 정상적이고 상식적으로 호응했다면 얼마든지 지혜로운 답을 찾을 수 있었고, 당이 그토록 어려움을 겪지는 않았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러나 한 후보는 이런 논란에 대해 “왜 지금 이 시기에 이런 문자가 나왔는지 모르겠다”며 의아하다는 모습을 보였다. 그러면서 “저는 집권당 비대위원장과 영부인이 사적인 방식으로 공적이고 정무적인 논의를 하는 것이 적절치 않다고 생각한다”면서도 “그러나 내용도 일부 잘못 구성됐다”고 말했다.
한편 총선 패배 책임과 채상병 특검법 해법 등을 놓고 연일 난타전을 벌이는 가운데 대표 후보들은 이날 오후 여의도 당사에서 한자리에 모여 대표 경선에서 공정한 경쟁을 펼칠 것을 다짐하는 서약식을 가질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