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려운 학창시절 겪어… 복지 필요 잘 안다"


전반기 사회적 약자 지원조례 힘써
문화·체육·관광 다양한 시야 넓혀
저출생 정책 市와 견제·협력 포부


유경희_문화복지위원회_위원장_경인일보_인터뷰
유경희(민·부평구2) 인천시의회 문화복지위원장이 17일 경인일보와 인터뷰에서 "복지 정책이 필요한 곳을 누구보다 잘 알고 있다"고 설명했다. 2024.7.17 /인천시의회 제공

유경희(민·부평구2) 제9대 인천시의회 후반기 문화복지위원장은 부개초, 부평서여중, 부평여고 출신 지역 정치인이다.

제8대 부평구의원(기초의원)을 거쳐 제9대 인천시의원(광역의원)으로 정치 경력을 쌓고 있다. 기초·광역의회에서 줄곧 문화·복지 분야에 관심을 갖고 활동했다.

그는 "가정 형편이 어려워 '복지 혜택'을 받았어야 하는 학창 시절을 보냈고, 복지 정책이 필요한 곳을 누구보다 잘 알고 있다"고 설명했다.

유 위원장은 전반기 때도 문화복지위원으로 활동하면서 '아동복지' '경계선지능인 평생교육' '자립준비청년' '당뇨병환자' '가족돌봄청소년' 등 사회적 약자를 지원하는 조례 제정에 힘썼다.

그는 "후반기 상임위원장이 되면서 복지뿐 아니라 문화, 체육, 관광, 의료, 보건 등 다양한 분야로 시야를 넓힐 의무가 생겼다"며 "문화복지위원 모두 각자 관심·전문 분야가 다르다. 각종 현안을 종합적으로 균형을 맞춰 끌고 가는 게 앞으로의 할 일"이라고 했다.

유 위원장은 인천시와 저출생 정책을 함께 고민하며 견제와 협력 관계를 이어가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앞서 인천시가 발표한 '1억 플러스 아이드림'의 올해 사업비는 393억원(시비 80%, 군·구비 20%)이지만 2027년부터는 1천억원대로 예산 부담이 늘어난다. 전액 시비로 시행하는 인천시의 저출생 주택 정책인 '천원주택' '1.0대출' 역시 5년간 1천억원 이상 예산이 필요하다.

그는 "저출생 대응 정책 기조는 현재처럼 유지돼야 한다"면서도 "저출생 정책을 지방비만으로 시행하면 결국 한계가 온다. 예산안을 꼼꼼히 따져 인천시가 재정건전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했다.

유 위원장은 인천시가 추진 중인 F1(포뮬러원) 그랑프리 대회 유치와 관련해서도 인천시가 주변 목소리를 경청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그는 "대규모 예산이 들어가는 사업은 신중함이 요구된다"며 "필요할 땐 브레이크를 걸고, 때로는 시민단체 의견도 반영하며 사업의 현실성을 높일 수 있도록 관계 부서와 소통하겠다"고 했다.

/조경욱기자 imjay@kyeongin.com

20240718010002273000221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