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무원·정계·언론·사업가 다양… 유권자, 인물경쟁력 중시 경향
출판기념회·광고 등 법적 금지행위 늘어… 중앙당서 전략 논의
오는 10월 16일 실시하는 강화군수 보궐선거가 90일 앞으로 다가오면서 출마 후보군 윤곽이 드러나고 있다.
17일 지역 정가에 따르면 자천타천 강화군수 후보로 10여명의 이름이 거론된다. 후보군 중 공무원과 정치인 출신이 다수를 차지한다.
언론인, 사업가, 협동조합 조합장 등 다양한 경력의 인물도 출마를 준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출판기념회, 기자회견 등 공식 행사를 열어 출마선언을 한 인물로 전정배 전 황우여 국회의원 보좌관, 김순호 전 강화군 부군수, 김세환 전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사무총장 등이 있다.
고(故) 유천호 전 강화군수 아들 유원종씨는 지난 12일 코레일 유통본부장직을 내려놓고 '아버지의 빈자리를 채우겠다'며 출마를 공식화했다. 황우덕 전 강화인삼조합장도 최근 보도자료를 내고 출마를 예고했다.
강화군은 농·어촌지역이면서 접경지역에 해당해 전통적으로 보수세가 강한 곳이다. 민주당 소속 인사들 중에서도 오랜 기간 지역 활동을 통해 인지도를 높인 이들이 존재한다.
그간 강화군수 선거 과정에서는 무소속이 '보수 정당' 후보를 꺾고 당선된 적도 있었다. 유권자들이 '정당'보다 '인물 경쟁력'을 중시하며 표를 주는 지역으로 분류된다.
보궐선거일을 90일 앞둔 18일부터는 공직선거법상 금지 행위가 적지 않다. 우선 후보자(후보자가 되려는 사람 포함)와 관련 있는 저서의 출판기념회가 금지된다. 국회의원과 지방의회의원은 선거일까지 강화군민을 대상으로 의정활동 보고를 할 수 없다.
정당·후보자 명의 광고가 금지되고 후보자는 방송·신문·잡지 등에 광고를 낼 수 없다. 선거운동을 위한 인공지능 딥페이크 영상 등을 제작·편집·유포·상영·게시할 수 없다. 통·리·반장이나 주민자치위원회 위원, 예비군 중대장급 이상 간부 등이 선거사무 관계자가 되려면 18일까지 사직해야 한다.
강화군수 후보군 중 국민의힘 공천 희망자는 다수인 반면 민주당은 거론되는 인물이 소수다. 국민의힘과 민주당은 중앙당 지도부가 결정된 이후 강화군수 보궐선거 전략이 구체화될 전망이다.
다만 후보군이 몰린 국민의힘의 경우 '내부 출혈 경쟁'을 최소화하기 위해 인천시당 차원에서 적극 움직이고 있는 분위기다.
손범규 국민의힘 인천시당위원장은 "지역에 대한 이해도는 중앙당보다 인천시당이 더 높다"며 "시당 차원의 공천이 결정되면 국민의힘 소속 예비후보 등록자를 기준으로 공정한 과정을 통해 후보자를 결정할 것"이라고 했다.
/조경욱기자 imjay@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