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5177만명 '3년 만에 증가세'
생산연령·유소년 매년 내리막길
지난해 국내 총 인구가 3년만에 증가세로 돌아선 것으로 나타났다.
저출산·고령화 등 영향으로 내국인은 감소세가 이어졌지만, 외국인이 큰 폭으로 늘어난 데 따른 것이다. 또한 인구 4명중 1명은 경기도에 거주하고, 3가구중 1가구 이상은 '1인 가구' 인 것으로 조사됐다. → 그래프 참조

통계청이 29일 발표한 '2023년 인구주택총조사 결과(등록센서스 방식)'를 보면 지난해 총인구는 5천177만5천명으로 전년보다 8만2천명(0.2%) 늘어났다.
총인구 증가세는 외국인이 견인했다. 인구주택총조사에서 인구로 집계되는 외국인은 국내 3개월 이상 체류했거나 3개월 이상 체류 목적으로 입국한 외국인이다. 지난해 상주 외국인은 193만5천명으로 전년보다 18만3천명(10.4%) 늘었다. 국적별로는 중국(한국계)이 53만2천명(27.5%)으로 가장 많았고 베트남(24만7천명·12.8%), 중국(22만1천명·11.4%) 등 순이었다. 중국과 베트남 국적만 100만명(51.7%)에 이른다.
반면 내국인 수는 2021년 이후 3년째 내리막길이다. 2022년 4천994만명을 기록하며 4년 만에 4천만명대로 내려앉은 데 이어 지난해에는 4천983만9천명으로 10만명 더 줄었다.
눈여겨 봐야 할 부분은 유소년·생산연령인구가 줄고 있다는 점이다.
15∼64세 생산연령인구는 3천654만6천명(70.6%)으로 전년보다 14만명 줄었다. 0∼14세 유소년 인구도 24만1천명 줄어든 561만9천명으로 집계됐다.
반면 65세 이상 고령인구는 46만2천명 늘어난 960만9천명을 기록했다.
시도별로는 경기도가 1천381만5천명(26.7%)으로 가장 많았다.
한편 지난해 총가구는 2천272만8천 가구로 전년보다 34만5천 가구(1.5%) 증가했다. 1인 가구 비중이 35.5%로 가장 높아진 데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김태성기자 mrkim@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