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대병원 최준영 교수팀 신문기사 분석
비과학적 단어 줄고 응급처치 용어는 늘어


아주대병원 신경과 최준영·고승연 교수, 아주대 수학과 권순선 교수(왼쪽부터)2

'간질'이라는 질환명은 지난 2011년부터 '뇌전증'으로 그 명칭이 변경됐다. 사회적 낙인처럼 부정적인 인식을 준다는 이유에서였다. 이러한 이미지를 없애고, 과학적·중립적으로 접근하기 위해 바뀐 '뇌전증'의 명칭 변경 이후 어떤 변화가 있었을까.

아주대병원 신경과 최준영 교수팀(고승연 교수· 아주대 수학과 권순선 교수)은 2001년부터 2022년까지 뇌전증을 다룬 신문기사를 분석했다. 연구팀은 2001~2003년 간질만 사용하던 '간질의 시대', 2011~2014년 간질에서 뇌전증으로 바뀌는 '변환의 시대', 2017~2018년 코로나19 팬데믹 이전, 2020~2022년 뇌전증만 사용한 '뇌전증의 시대'로 구분했다.

분석 결과 '뇌전증' 명칭을 사용한 기사의 비율이 2011~2014년 60%였고, 2020~2022년에는 80%까지 늘었다. 연구팀은 과거 '장애'·'악마'·'유령'과 같은 부정적이고 비과학적인 단어들을 사용한 것에서 최근 '해마'·'신경세포'·'전기신호' 등 과학적인 단어를 사용한 것으로 확인했다. 또 '응급실', '벨트', '기도확보' 등과 같은 응급처치 연관어와 신약 관련 용어를 함께 작성한 것이 눈에 띄었다.

감정분석의 경우 간질의 시대에는 부정적 감정이 80%에 달했으나 뇌전증의 시대에는 절반 이하로 감소했다. 연구팀은 신문기사들이 환자 중심적이고, 환자들의 삶을 다루는 등 호의적인 분위기로 바뀌었다고 설명했다.

최준영 교수는 "뇌전증은 우리 주변에서 흔히 경험하는 고혈압이나 당뇨 등과 같은 다양한 기저질환처럼 평소 잘 관리하면 문제없이 일상생활이 가능하다"며 "명칭 변경 이후 '뇌전증'에 대한 관점, 감정의 변화 등 긍정적인 변화를 확인했다"고 말했다. 이어 "아직 뇌전증 환자의 이혼율과 실업률이 수 배나 높다. 뇌전증이 과거의 부정적 이미지를 벗고, 막연한 편견을 갖지 않길 바란다"고 덧붙였다.

/구민주기자 kumj@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