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해 피해 대응·생활용수 공급 필요
정부 후보지 14곳 발표 '첫발' 떼
착공까지 주민 동의 등 과제 산적
정부가 국가 주도로 14년만에 댐 건설을 추진하는 것은 극한 홍수나 가뭄 등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해서다.
환경부는 30일 정부서울청사에서 경기 연천 등 기후대응댐 후보지 14곳을 발표하면서 "기후위기가 현실화한 가운데 홍수·가뭄으로 인한 피해를 줄이고 미래 물 수요를 충족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물그릇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신규 댐 건설을 위한 첫발을 뗐지만, 관련 예산 확보와 부수적으로 발생하는 환경오염, 수몰지역 주민 보상 등 해결해야 할 숙제도 많다는 지적이다.
■ 기후변화, 댐 필요성 키웠다
국가 주도의 댐 건설은 2010년 착공된 경북 영천의 보현산 다목적댐 이후 14년간 전무한 상황이다. 이후 우리나라의 기후변화가 급격히 찾아오면서, 기상 상황은 점점 극한으로 치달았다.
실제 파주(873㎜) 등 경기북부지역에서는 7월 한 달간 강수량이 연 강수량의 절반을 넘어섰다.
이번에 댐 후보지로 선정된 연천군에서는 이번 장마 때 집중호우로 주택 14가구, 농경지 27㏊, 비닐하우스 5천500㎡ 침수 및 공공시설이 파손되는 피해를 당했다.
앞서 1996년, 1999년, 2007년, 2011년과 2020년에도 엄청난 폭우로 군청이 있는 연천읍 차탄리를 비롯한 많은 지역의 주택과 인프라가 수해를 입어 주민들이 큰 고통을 겪기도 했다.
이런 반복되는 수해 문제의 해결책으로 연천군은 2017년부터 아미천에 다목적댐을 건설해 줄 것을 정부에 건의한 바 있다.
생활용수 공급량이 점차 줄어드는 것도 이번애 댐 추진 이유중 하나다.
■ 댐 건설까지 넘어야 할 산도 많다
정부의 후보지 발표로 국가주도 댐 건설 추진이 첫 걸음을 뗐지만, 착공까지 넘어야 할 산이 많다.
먼저 주민 동의가 필요하다. 지역에 대한 적절한 지원책이 없다면 주민 반대로 무산될 수 있다.
수조 원에 달할 것으로 예상되는 댐 건설비와 댐 건설 과정에서 발생하는 환경오염에 대한 우려도 있다.
이 때문에 녹색연합과 환경운동연합 등 환경단체는 환경부 발표 직후 일제히 반대성명을 내기도 했다. 환경운동연합은 신규 댐 건설에 대해 "관성적 토건주의에서 벗어나지 못한 환경부의 기후문맹적 발상"이라고 꼬집기도 했다.
한편 환경부는 이에 따라 8월중 연천군과 함께 주민에게 댐의 필요성을 설명하고 소통하는 시간을 가질 예정이다.
/김태성·이영지기자 mrkim@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