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기명·노충균 교수팀 '스위핑' 이용
기존 조직검사보다 민감·정확도 높아
위암을 일으킬 수 있는 헬리코박터 파일로리균의 새로운 진단 방식이 소개됐다. 아주대병원 소화기내과 이기명·노충균 교수팀은 기존의 조직검사가 아닌 '스위핑 방법'을 이용한 진단법이 제균치료 후 확인 검사로 유용하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스위핑 방법은 내시경을 통해 위장 내 점액을 쓸어 담아 채취하는 새로운 방법이다. 기존 신속요소분해효소검사법의 일종으로 현재 사용하고 있는 진단 키트를 그대로 활용할 수 있다. 현재 헬리코박터균을 진단하는 가장 대표적인 방법은 위 점막 조직을 떼 진단 키트에 넣어 색의 변화를 보는 신속요소분해효소검사법이다.
연구팀은 지난 2020년 이러한 새로운 진단법이 헬리코박터균을 진단하고, 민감도와 정확도를 크게 올릴 수 있음을 처음으로 발표한 바 있다. 이번 연구는 기존 연구에서 더 나아가 내시경 추적이 필요한 환자를 대상으로 제균치료 후 균주의 수가 급격하게 감소한 상태에서도 기존 요소호기검사에 비해 민감도가 두 배 더 높은 것을 확인했다.
헬리코박터균의 경우 내시경으로 진단하고, 제균치료 후 확인검사는 환자가 내뿜은 숨을 모아 진단 키트 검사를 하는 요소호기검사를 한다. 반면 제균치료 후 내시경 추적을 해야 하는 환자, 즉 염증이 심하거나 궤양이 있거나 위암을 내시경적 또는 수술로 제거한 사람들은 내시경과 요소호기검사를 모두 시행했다.
헬리코박터균은 위장 내 강한 산성 환경에서 죽지 않고 생존할 수 있는 균주로, 이 균이 생존하고 정착하는 과정에서 위 점막에 만성 염증을 유발, 소화성 궤양과 위암 등을 일으킨다.
연구팀은 "새로운 방식이 기존 조직 채취 방법의 단점을 극복하고, 치료 전과 치료 후 모두 매우 유용한 검사법임을 확인했다"며 "특히 위 점막 조직 채취로 인한 손상이 없어 항응고제, 항혈전제를 복용 중인 환자도 안전하게 받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기명 교수는 "아주대병원은 2020년부터 이 새로운 방식으로 헬리코박터균을 진단하고 있다"며 "이번 연구가 헬리코박터균의 유용한 새로운 진단법으로 인정받고 널리 알려지길 바란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소화기내시경 분야 최고 권위의 국제 학술지 '미국소화기내시경학회지(GIE)'에 온라인 게재됐다.
/구민주기자 kumj@kyeongin.com
위암 유발 '헬리코박터'… 아주대병원, 새 진단법
입력 2024-08-13 19:05
수정 2024-08-13 19:05
지면 아이콘
지면
ⓘ
2024-08-14 15면
-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가
- 가
- 가
- 가
- 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