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전력이 학력 중심의 사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나선다.
2일 한국전력에 따르면 이날 이런 내용을 담은 ‘고졸 인재 종합지원 대책’을 발표했다. 이번 대책의 핵심은 고졸 채용 확대와 고졸 사원의 경력개발 지원이다.
우선 오는 2025부터 2027년까지 고졸 채용 비중을 이전(2022∼2024년) 대비 3∼4배 수준으로 확대해 총 200개의 고졸 일자리를 창출하기로 했다.
한전은 고졸 입사자에게 대졸 입사자와 동일한 직급과 직무를 부여하며 학력에 따른 차별을 두지 않고 있다. 이와 함께 재학생 맞춤형 특화 채용 프로그램 등을 운영 중이다.
올 하반기부터 고졸 인재에게 업무 경험 기회를 제공하고 취업 역량 강화를 지원하기 위해 ‘고졸 체험형 인턴’ 제도를 도입한다는 계획이다. 특히 우수 인턴에게 공채 필기전형 가점을 부여하며, 고졸 사원이 입사한 후에는 대학 수준의 전문지식을 충분히 습득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이외 산학협력을 통해 한전 맞춤형 ‘에너지 신기술 융복합 계약학과’를 신설해 학사 취득을 지원하고, 현장에서 필요한 산업기사, 전기기사 등 직무 관련 자격증 취득을 돕는다.
또 고졸 사원 직무 특화 과정을 비롯해 찾아가는 현장 교육, 선배 직원과의 멘토링 등을 통해 고졸 사원들의 안정적 조직 적응을 체계적으로 뒷받침할 계획이다.
앞서 김동철 사장은 지난달 30일 한국전력학원이 운영하는 에너지마이스터고 서울 수도전기공고를 찾아 재학생들을 격려했다.
이 자리에서 그는 “글로벌 전력산업은 빛의 속도로 변하고 있다”면서 “다가오는 에너지신시대에는 단순히 대학 졸업장을 따는 것보다 그 분야에 대한 최신 정보와 검증된 실력을 갖추고 현장에서 구체적 성과를 내는 게 더욱 중요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