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청, 2052년 장래가구추계
80세 이상인 가구 368만개 늘듯
2차 베이비붐 세대 노령화 분석
오는 2052년에는 급격한 노령화와 1인 가구 증가에 따라, 5집 중 1집 꼴로 가구주 연령이 80대 이상일 것으로 전망됐다. → 그래프 참조

22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 및 '장래가구추계 2022∼2052년'에 따르면 가구주 연령이 80세 이상인 가구는 2022년 119만4천가구에서 2052년 487만6천가구로 늘어날 것으로 예측됐다.
30년간 368만2천가구가 늘어, 그 규모가 4배 이상으로 증가하는 셈이다.
2052년 전체 가구(2천327만7천가구)의 20.9%가 80대 이상 가구이다.
2022년 기준 80대 이상 가구의 비중은 5.5%다.
2052년에는 2차 베이비붐 세대(1964∼1974년생)도 대부분 80대 이상으로 되는 데다, 사별로 인해 노인 1인가구가 크게 늘면서 가구주의 연령대가 크게 높아지는 것으로 분석됐다. 실제로 2052년 기준으로 80대 이상 가구를 가구원 수별로 분석하면 1인가구가 228만5천가구로 가장 많다. 전체 1인가구(962만가구)의 23.8%에 달한다.
가구주 연령을 65세 이상으로 넓히면 2052년 전체 가구의 절반에 달하는 1천178만8천가구로 전망됐다. 2052년 가구주의 중위연령은 65.4세다.
반면 30대 이하 청년 가구주의 수는 2022년 498만8천가구에서 2039년 300만대에 진입, 2052년에는 274만4천가구까지 줄어들 것으로 추계됐다. 전체 가구에서의 비중은 23.0%에서 11.8%로 축소된다.
/김태성기자 mrkim@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