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대표 인사말 배제 등 불화 키워
김종혁 최고 "상황 인식 서로 달라"
친윤계, 독대 공론화에 불편한 심기
한동훈은 "허심탄회하게 논의 필요"

민주 "의료대란 논의 이뤄지지 않아"

지난 24일 열린 윤석열 대통령과 국민의힘 한동훈 대표 등 지도부 만찬이 정국 현안을 푸는 자리가 아닌 갈등과 불화만 키웠다는 지적이다. 현안에 대한 논의 없는 식사자리로만 끝나면서 용산과 여의도의 기온차를 확인할 수 있었다는 게 참석자들의 뒷얘기다. 더불어민주당은 윤 대통령과 한 대표의 '빈손 만찬'으로 인해 "국민은 분노한다"는 입장문을 냈다.

만찬 자리에서 윤 대통령은 한 대표의 독대 자리를 만들기는 커녕 당 대표 인사말도 배제시켰고, 한 대표가 다시 독대 요청을 했지만 친한(친한동훈)계에서는 의정갈등과 김건희 여사 관련한 이야기를 꺼낼 기회도 없었다고 지적했다. 당정 화합을 위한 만찬이 오히려 갈등만 더 확산시켰다는 지적이다.

김종혁 최고위원은 25일 라디오에서 "대통령실과 당이 상황에 대한 인식이 서로 다른 것 같다"며 "당 입장은 굉장히 심각하다는 것이고, 대통령실은 '개혁이니까 그냥 밀고 가야 한다'라는 입장인 것 같다"고 지적했다. 용산 대통령실에서 전한 '화기애애한 분위기'에 대해서도 부인했다.

김 최고위원은 "김 여사 의혹도 당에서는 근본적인 대책이 마련돼야 한다는 생각이 있지만, 대통령실은 허위 사실이니까 당에서 적극적으로 나서서 막아줘야 한다는 입장이 강한 것 같다"며 "상황 인식이 다르다 보니 껄끄러운 부분이 연출되는 것"이라고 짚었다.

친윤계는 한 대표가 잇따라 '독대'를 공론화하는 데 대해 불편한 기색을 보이고 있다. 이미 한 차례 차후 논의하자고 했는데 만찬이 끝나자마자 다시 독대 요청을 언론에 알리는 것은 여당의 대표가 할 언행은 아니라는 입장이다.

친윤계 한 인사는 "대통령실의 당 지도부 회동에 독대가 주 메뉴가 되는 것은 어불성설"이라며 "국민이 보기에 대통령과 여당 대표 사이에 얼마나 신뢰가 없으면 공개적으로 독대 요청을 하느냐는 말이 나올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그러나 한 대표는 이날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재차 독대 요청을 했다. 그는 "윤 대통령과 중요한 문제에 대해 허심탄회하게 논의할 필요가 있다"며 "윤 대통령과 독대하는 자리를 갖고 정국 현안을 주제로 대화를 나누고 싶다"고 의지를 피력했다.

이런 가운데 민주당 의료대란특위는 입장문을 통해 "국민들이 가장 절실하게 기대했던 '의료대란'에 대한 논의는 전혀 이뤄지지 않았다"고 질타했다. 그러면서 "그저 '밥만 먹었다'는 사실은 실로 충격적"이라며 "국민의 기대는 절망을 넘어 분노로 바뀌었다"고 비판했다.

/정의종기자 jej@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