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토지주택공사(LH)는 지난 3월 정부가 발표한 ‘건설경기 회복 지원방안’의 후속 조치로, 부동산 PF 시장 안정화와 건설경기 활성화를 위해 30일부터 3조원 규모의 건설업계 보유토지 2차 매입을 실시한다고 밝혔다.
앞서 LH는 지난 4월 2조원 규모 1차 매입을 실시했었지만 다수의 금융기관으로 구성된 부동산PF 구조상 부채상환에 대한 대주단 전원 동의 어려움과 금융당국의 부동산PF 정상화 관련 정책에 대한 기대심리가 반영돼 예상보다 참여는 저조했다.
이에 LH는 지난 6월부터 두 달에 걸쳐 건설·금융업계를 방문해 의견수렴을 위한 간담회를 진행했으며, 접수기간 연장, 인·허가 취소 조건 완화 등 간담회에서 수렴한 건의사항을 적극 반영해 2차 공고를 시행한다.
이를 통해 ‘유의·부실 우려’로 평가된 약 21조원 규모의 PF 익스포져(위험노출액) 재구조화나 경·공매 과정에서 대출채권 조기회수, 정상채권 전환 등 사업 정상화에 적극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LH는 설명했다.
이번 2차 매입은 3조원(매입 2조원, 매입확약 1조원) 규모로 시행되며 매입기준 및 절차 등은 1차와 동일하나 개선사항은 30일 LH 홈페이지 및 전자조달시스템에 게시된 공고문과 유의서 등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매입 대상은 토지대금보다 부채가 커 유동성 확보가 필요한 기업이 올해 1월3일 이전까지 소유권을 취득(공영개발지구 내 미준공 토지일 경우 대금완납)해 보유 중인 3천300㎡ 규모 이상의 토지다.
해당 기업이 신청서를 제출하면 LH는 서류심사, 현장조사 등을 거쳐 매입적격 여부를 결정하며, 기업이 제시한 기준가격 대비 매각희망가격 비율을 역경매 방식으로 개찰해 매입대상을 최종선정한다.
매입가격은 기준가격에 기업이 제출한 매각희망가격 비율을 곱하여 산정하며, 매매대금은 전액 기업의 부채상환용으로만 지급된다. LH는 부채 상환에 동의한 금융기관에 부채상환용 채권으로 직접 지급할 예정이다.
신청접수는 오는 11월1일까지 약 5주간 LH 전자조달시스템(ebid.lh.or.kr)을 통해 가능하며, 현장조사 등 매입적격 여부 심사를 거쳐 11월 이후 매입토지 최종선정 및 계약체결을 진행한다.
한편, 자세한 사항은 LH 홈페이지(www.lh.or.kr) 또는 LH 전자조달시스템(ebid.lh.or.kr)에 게시된 ‘건설업계 보유토지 매입공고(2차)’를 통해 확인하거나 전화(031-738-4365~6) 상담도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