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리셀 참사 100일을 맞은 지난 10월 1일 오후 화성시 서신면 전곡리 아리셀 공장 화재현장이 녹슨 채 처참한 모습으로 방치 돼 있다. 2024.10.1 /임열수기자 pplys@kyeongin.com
아리셀 참사 100일을 맞은 지난 10월 1일 오후 화성시 서신면 전곡리 아리셀 공장 화재현장이 녹슨 채 처참한 모습으로 방치 돼 있다. 2024.10.1 /임열수기자 pplys@kyeongin.com

23명의 화재 사망자를 낸 화성 일차전지 업체 아리셀과 모회사인 에스코넥의 ‘군납비리’ 혐의를 수사 중인 경찰이 아리셀 및 에스코넥 임직원들에 대한 구속영장을 신청했다.

경기남부경찰청 아리셀 화재사고 수사본부는 10일 업무방해 혐의로 아리셀 임원 A씨와 에스코넥 관리자급 직원 B씨와 C씨 등 모두 3명에 대해 사전 구속영장을 신청했다.

이들은 아리셀과 에스코넥이 일차전지 군납을 위한 품질검사를 받는 과정에서 품질 검사용 전지를 별도로 제작한 뒤 시료와 바꿔치기하는 수법 등으로 데이터를 조작해 국방기술품질원 및 국방부의 업무를 방해한 혐의를 받고 있다.

A씨는 아리셀의 군납용 전지 수검 부서 총책임자로 이미 업무상과실치사상 등 혐의로 구속기소된 박중언 아리셀 총괄본부장과 함께 품질검사 조작을 사실상 주도한 것으로 나타났다.

B씨와 C씨는 에스코넥 수검 부서의 관리자급 직원인 것으로 파악됐다. 경찰은 이들 외에도 박순관 아리셀 대표 등 윗선이 검사 조작에 개입했을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보고 수사를 확대하고 있다.

지난 8월 1일 오전 수원시 장안구 고용노동부 경기지청 앞에서 아리셀 화재 유가족 등 관계자들이 집회를 열고 박순관 에스코넥 대표이사의 구속 수사를 촉구하고 있다. 2024.8.1 /이지훈기자 jhlee@kyeongin.com
지난 8월 1일 오전 수원시 장안구 고용노동부 경기지청 앞에서 아리셀 화재 유가족 등 관계자들이 집회를 열고 박순관 에스코넥 대표이사의 구속 수사를 촉구하고 있다. 2024.8.1 /이지훈기자 jhlee@kyeongin.com

앞서 경찰은 아리셀 화재 사고의 원인을 규명하는 과정에서 아리셀이 2021년 군납을 시작할 당시부터 품질검사를 조작해 올해 2월까지 47억원 상당의 전지를 납품한 정황을 포착했다.

아리셀의 모회사인 에스코넥 역시 2017~2018년 국방부에 전지를 납품할 당시 시험데이터를 조작하는 수법으로 군의 품질검사를 통과한 것으로 조사됐다.

경찰은 군납비리 혐의로 아리셀과 에스코넥의 전현직 직원 24명을 형사입건해 조사해왔다. 다만 국방부 등 군 관련 기관 소속의 입건자는 현재까지 없는 것으로 파악됐다. 경찰은 지난달 5일 에스코넥 본사와 아리셀 본사 등 6곳을 압수수색하는 등 강도 높은 수사를 이어가고 있다.

한편 검찰은 지난달 박 대표를 중대재해처벌법 위반, 파견법 위반, 산업안전보건법 위반 등 혐의로, 박 총괄본부장을 산업안전보건법 위반, 업무상과실치사상 등 혐의로 각각 구속기소했다.

이들은 지난 6월 24일 아리셀 공장에서 불이 나 노동자 23명이 숨지고 8명이 다친 화재 사고와 관련해 중대재해 발생 대비 매뉴얼을 갖추지 않고, 안전보건 확보 의무 등을 위반한 혐의를 받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