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개 시·군 '카톡' 오픈채팅방 개설
"빨리 조치하라"… "대응 어려워"
늦은 시간까지 이용자·업체 언쟁
"만들고 손 놓아" 운영 불만 표출
서울시 시스템 등 새 방식 모색도

ㅇ
PM 불법주차 신고방에서 한 공유 모빌리티 업체 직원이 불만을 토로하고 있다. /화면 캡처

경기도 내 지자체들이 PM(개인형 이동장치) 안전 종합대책으로 운영 중인 '불법주차 신고 오픈채팅방(신고방)'이 민원인과 업체 관계자들간 과도한 설전이 벌어지며 '분노의 방'으로 전락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앞서 지난 6월 경기도가 오픈채팅방 운영 의사를 밝힌 이후 수원과 용인 등 도내 22개 시·군에서는 카카오톡을 통해 공유자전거·PM 불법주차 신고 오픈채팅방을 개설해 운영 중이다. 이 방에는 공유 모빌리티를 이용하는 시민들을 비롯해 업체 관계자, 지자체 담당자 등이 참여하고 있다.

16일 오전 5시 평택시 신고방은 아침 일찍 출근하는 시민들의 불만으로 시작했다. 출근시간대인 오전 6~10시 새 신고가 폭주했다. 같은 시간 성남시 신고방에는 14건, 수원시 신고방에는 8건의 민원이 각각 접수됐다.

 

개인형 이동장치 인도 점령
16일 수원시 권선구의 한 인도에 전기자전거 등 개인형 이동장치가 인도를 점령해 보행자 통로를 막고 있다. 2024.10.16 /최은성기자 ces7198@kyeongin.com

하루 평균 10건씩 발생하지만, 주말에는 수십 건에 달하는 경우도 허다하다. 신고방 운영 종료시간은 각 지자체마다 다르지만 대부분 공유 모빌리티 업체의 영업종료 시간에 맞춘 오후 6~9시 사이로 공지돼 있지만, 시민들의 신고 민원은 밤늦게까지 이어진다.

고양시 신고방에는 자정이 넘은 시간에 '상습적인 PM 불법주차로 불편을 겪고 있으니 빨리 조치하라'는 민원이 올라왔으며, 조치가 늦거나 제대로 해결되지 않은 민원에 불만을 토로하다 새벽까지 언쟁이 발생하기도 했다.

지난 7일엔 수원시 신고방에서 민원사항을 두고 시비가 붙은 시민들이 모두 퇴장조치됐고, 12일 용인시 신고방에선 한 공유 모빌리티 업체 직원과 시민들 간 언행이 지나치다는 이유로 말다툼이 벌어지기도 했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일반 시민들과 업체 관계자 모두 지자체의 신고방 운영을 두고 불만의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김포의 한 시민은 "지자체가 신고방만 만들어 둔 채 손 놓고 있는 것 같다"며 "보다 적극적인 조치가 필요하다"고 토로했다. 한 업체 관계자 역시 "시시각각으로 들어오는 민원에 전부 대응하기란 현실적으로 어려운데 신고방에선 업체에 대한 비난이 도를 지나치는 경우가 있다"며 "체계적인 행정 절차가 필요하다"고 했다.

대부분의 지자체들은 이 같은 상황을 알면서도 별다른 대응 방안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 도내 A지자체 관계자는 "양측 모두의 불만을 인지하고 있지만, 빠른 민원 해결을 위해선 신고방 운영이 최선이라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신고방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새로운 신고 방식을 도입하려는 지자체도 있다. B지자체 관계자는 "서울시에서 운영하는 신고 시스템을 벤치마킹해 내년 1월 도입을 목표로 준비하고 있다"며 "지금의 불편은 과도기에 나타난 일시적 문제일 것"이라고 했다.

/김지원기자 zone@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