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과제 수행 최종보고회 개최
시범사업서 대상 확대 의견 개진
도민체전·도장애인체전 등 포함

대회 기준은 물론 은퇴 선수에 대한 지원 방안 등도 내년도 사업 계획 논의 대상에 포함돼 있는 상태다.
경기도는 4일 경기도청에서 체육계 민간 전문가, 지역 체육단체 관계자와 '체육인 기회소득 확대방안 정책과제 수행 최종보고회'를 개최했다.
이날 보고회에는 김상수 문화체육관광국장, 김양례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 수석연구위원, 박진아 경기연구원 연구위원, 이상은 대한체육회 생활체육부장 등이 참석했다.
지난 4월부터 수행된 체육인 기회소득 확대방안 정책과제 연구 결과, 체육인에 대한 기회소득 지급은 체육활동을 통해 사회적 가치를 창출하는 체육인에게 안정적 체육활동을 보장한다는 평가를 받았다.
아울러 체육의 사회적 가치를 증진하며, 다양한 종목의 체육인들을 고르게 지원해 스포츠 분야의 균형발전을 도모하고 경기도 체육 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는 게 도의 설명이다.
다만 시범 사업 과정에서는 체육인 기회소득 대상 확대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개진돼, 도가 이에 대한 확대 방안을 유력하게 검토중이다.
기회소득 지급대상 확대방안으로는 ▲대회기준에 경기도(장애인)체육대회, 경기도생활체육대축전, 경기도장애인생활체육대회 등을 포함 ▲은퇴선수 중 체육행정 종사자나 심판 등도 기회소득 지급대상에 포함 ▲공공 체육교실에 종사 지도자 중 주 15시간 이상 재직 기준 삭제 등이 반영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전해졌다.
김상수 경기도 문화체육관광국장은 "앞으로도 시군, 체육인과의 다양한 소통을 통해 의견을 수렴해 정책을 보완하고 발전시켜 나가겠다"며 "체육인 기회소득 정책을 통한 체육인의 사회적가치 창출이 도민들께 인정받을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올해 체육인 기회소득 시범사업은 경기도 거주, 19세 이상 중위소득 120%이하의 현역선수, 지도자, 심판 등 도내 체육인에게 연 150만원을 지급하는 것으로 13개 시군에서 신청접수를 받고 있다.
내년 26개 시군이 참여를 확정했고, 도는 31개 전 시군이 참여할 수 있도록 노력한다는 방침이다.
/이영지기자 bbangzi@kyeongin.com